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진왜란100

한국인들이 존경하는 군사 지휘관 8인 한국 전쟁사를 살펴보면 한국인들은 외세의 침략을 많이 받고 지배당했던 국가인데요. 그 중에서도 외세의 침략에 대응하여 큰 승리를 이룩하거나 역사서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으로 인해 현대의 한국인들에게 존경을 받고 있는 인물들이 있습니다. 한국인들이 존경하는 군사 지휘관 8인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1952년 임진왜란 당시 전라좌수사로 남해안을 장악하면서 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왜군이 두려워했던 조선의 수군 제독입니다. 대표적인 전투로는 한산도 대첩, 명량 대첩 등이 있으며 현대 한국인들이 제일 존경하는 위인 중 한명입니다. 막리지 을지문덕 612년 고구려에 침공한 수나라의 대군을 살수(현재의 청천강)에서 수장시켜버린 고구려의 군사지휘관입니다. 중국측 기록에 보면 살아 돌아온 자가 2,700명 뿐이었으며 역사.. 밀리터리 2017. 1. 11.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배의 종류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주력함대에 포진되어 있던 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맹선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각 지방의 세곡을 수도로 옮기는데 사용했던 배로 한국사에서 최초로 조운업을 시작한것은 문헌으로 남은 고려시대이지만 사실 신라시대 당시 선부에서 해양 운송을 관장했다는 주장이 있다. 추왜별선 속도가 빠른 왜선을 추적하기 위한 조선의 쾌속선으로 이름이 비슷한 왜별선은 왜구선을 포획하여 견본으로 둔 것이다. 판옥선 조선 수군의 주력함으로 1555년 조선 명종시대에 개발한 주력 전투선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전선, 판옥전선이라고 하며 판옥이라는 널빤지 위에 올린 망루나 장대를 의미한다. 즉 기존의 함선을 판으로 한층 더 쌓고 무관들의 지휘 및 전투용의 망루를 올린 배라고 보면 된다. 거북선 거북선은 임.. 밀리터리 2016. 12. 25.
한국 전쟁사 속 위대한 승리들 안녕하세요. 대첩이라는 뜻은 전쟁 중 또는 전투에서 아군이 적을 크게 이겼을 때 쓰는 말로 일반적인 전투보다 높은 단계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대전과도 의미가 약간 겹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 전쟁사 속 위대한 승리들 살수대첩 (612년) 612년 고구려 영양왕 시절 살수(현재의 청천강)에서 고구려 장군인 을지문덕 장군의 주도 아래 이루어낸 대첩으로 2차 여수전쟁의 대표적인 전투 중 하나이며 고구려 원정군 중 2,700명을 제외하고 궤멸당했다고 합니다. 수양제는 2차 고구려침공 이후 3차, 4차 침공을 계속했으나 결국 고구려 정벌에 실패하였으며 무리한 고구려 정벌로 인하여 수나라가 패망하게 되면서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졌습니다. 귀주대첩 (1019년) 1019년 2월에 고려 강감찬 장군이 이끄는 고려군이 .. 밀리터리 2016. 12. 6.
임진왜란 당시 강화협정에 대한 새로운 학설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와 일본은 강화협정이라는 것을 통해 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려고 했다. 대체적으로 알려져 있는 강화협정과는 다른 형태를 띄우고 있는데 최근 역사학자들이 연구한 내용에 있어서는 기존의 임진왜란 당시 강화협정에 대해서 부정되고 있다. 현재의 글은 최근의 논문을 요약한 것이라고 보면된다 명나라의 참전으로 인해 상황이 악화되자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명의 강화사에게 제시한다 1. 평화조약을 보증하기 위해 명나라 황녀를 일본 천황의 후궁으로 삼는다 2. 무역을 재개한다 3. 일본과 명나라 양국 대신이 각서를 교환한다 4. 조선 8도 가운데 4도를 일본에 이양한다. (조선의 4도 :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경기도) 5. 조선의 왕자와 신하 1~2명을 볼모로 일본에 보낸다 6... 밀리터리 2016. 11. 7.
임진왜란에서 조선군이 승리한 6가지 이유 1952년(조선 선조 25년 임진년)에 일본 전국시대를 통일한 일본 다이묘 하시바 히데요시가 명나라를 정벌한다는 명분으로 조선을 침략한 전쟁으로 조선, 명나라, 일본 사이에서 일어난 국제전쟁 날짜 : 1592년 5월 23일 ~ 1598년 12월 16일 전쟁명칭 : 임진왜란, 정유재란 전쟁장소 : 한반도 일부 교전국 : 조선, 명 VS 일본(왜) 임진왜란에서 조선군이 승리한 이유 조선 백성들의 협조로 인한 정보, 첩보전 임진왜란 당시에 조선 수군을 지휘하고 있었던 이순신 장군은 일본군에 대한 첩보전을 상당히 중요시 했는데 일본 수군의 이동경로라던지 등의 정보를 백성들에게 주로 들었으며 이러한 정보는 남해안을 장악하여 일본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육지에서는 .. 밀리터리 2016. 10.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