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본제국5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미국 진주만을 공격한 이유 4가지 1940년 일본은 일본군 5사단을 인도차이나로 진군시켰고 2차대전의 전쟁범죄국 집단인 삼국 주축 동맹을 체결해버렸습니다. 또한 일본은 동남아 식민지 전쟁을 중지하라는 미국의 압력과 경고에도 지속적으로 감행했는데요. 결국 1941년에 미국(America), 영국(Britain), 중국(China), 네덜란드(Dutch) 4개국은 일본에 전략물자 수출을 금지하는 ABCD 포위망을 형성 시켰습니다. 당시 일본은 중국과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석유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었고 미국의 ABCD포위망에 의한 석유 수출금지는 일본에게 치명타였습니다. 당시 일본제국이 미국과 협상하려고 했던 의도 2차대전 당시 미국은 초강대국이 아니라 세계 열강 중의 한개 나라 정도의 이미지였습니다. 2차대전 당시 중립을 유지하고 있던 미.. 밀리터리 2017. 12. 10.
하지말았어야 할 일본의 병맛 군사전술 TOP3 일본은 2차세계대전을 일으킨 전범국가이며 미국에게 일본 본토 폭격을 맞아 마침내 1945년 8월 15일에 당시 일본 천황 히로히토가 항복선언문을 일본 본토 및 식민지배하 영토에 발표하게 되었다. 2차세계대전으로 인하여 일제는 패망하게 되었다. 하지말았어야 할 일본의 병맛 군사전술 TOP3 반자이 어택 일본군은 총검술에 있어서 자신들이 우월하다는 자신감과 정신력에서 일본인을 능가하는 민족이 없다라고 생각하며 근거 없는 자신감에 차있었고 일본군이 '텐노 헤이카 반자이~!(천황 폐하 만세!)'를 외치며 적진으로 돌격하는 식이었고 청일전쟁, 중일전쟁 초기까지만 해도 청나라 군대와 중국군에게는 아주 잘 통했으나 사실 상 맨몸으로 기관총 앞으로 뛰어드는 것이었기 때문에 2차 세계대전에서는 매우 쉽게 제압당했고 안타.. 밀리터리 2016. 11. 24.
나라를 팔아버린 친일파! 정미칠적 정미칠적은 대한제국에서 을사조약을 체결한 2년 후인 1907년 7월에 체결된 한일신협약(3차 한일협약조합 또는 정미7조약) 조인에 찬성한 대한제국의 내각 대신 일곱 사람을 가르키는 말로 친일인명사전 명단에 정미칠적 모두가 포함되어 있다 추가로 정미칠적에 설명을 하자면 을사조약에 체결한 내각 대신 을사오적 다음으로 민족을 배반한 민족배반자 7인이라고 볼 수 있다 나라를 팔아버린 친일파 정미칠적 이완용 (내각총리대신) 순종이 즉위한 뒤 정미7조약에 서명하여 대한제국의 정권을 스스로 일본에 넘겼으며 미 조약 체결의 원흉인 정미칠적 명단에는 이완용의 맏며느리 임건구의 친삼촌인 사돈 임선준의 이름 역시 학인되고 있으며 고종이 퇴위하고 순종이 즉위하자 이완용은 망국노, 역적이라는 질타를 받았고 반 이완용 시위, 이.. 밀리터리 2016. 10. 13.
일제를 쳐부수자! 위대한 대한독립군 지도자 4인 일본제국의 강제 침탈로 인하여 조선이라는 나라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는데 조선의 독립을 위해 싸웠던 독립운동가들과 대한제국의 많은 백성들의 독립에 대한 정신적 지주였던 대한독립군 위대한 지도자 4인데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범 김구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일제강점기 시절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이며 1919년에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제국 임시정부를 수립에 참여하였으며 1940년에는 상해 대한제국 임시정부 주석에 선출 되었다 기본적으로 백범 김구를 평가하는 사람들은 일제강점기 시절에 지대한 영향력을 가졌던 인물로 평가하고 있으며 임시정부의 마지막과 처음을 이끌었던 지도자로 평가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시절에 상해임시정부에서 근무하면서 대한독립군을 포함한 대한제국의 국민들에게 정신적지주였으며 1949.. 밀리터리 2016. 9. 30.
태평양전쟁의 일제패망으로 인한 세계에 끼친 영향들 태평양 전쟁이라는 것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일본의 제국 국군주의가 브레이크 없이 질주를 벌인 중립이라는 잠에 빠져들어 있던 미국을 깨어나게 만들고 스스로를 자멸로 초래하고 만 전쟁이며 전술의 차이가 얼마나 큰지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말해주는 전쟁이자 단일 전쟁으로서는 역사상 가장 넓은 지역에서 벌어진 전쟁이라고 볼 수 있다. 태평양전쟁 기간 : 1941년 12월 7일 ~ 1945년 9월 2일 전투지역 : 태평양 전역,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일대 이유 : 일본제국의 침탈야욕 및 당시 미국 여론에 대한 심각한 오판 결과 : 연합군의 승리 (개전 당시 일본제국의 최대판도) 서쪽으로는 영국 치하의 인도제국을 남쪽으로는 다윈 등 호주의 북부도시를 동쪽으로는 미드웨이 및 알류샨 열도를 위협했다 (태평양전쟁 종.. 밀리터리 2016.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