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방원11

조선 건국 초기 조선이 강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조선은 고려 말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이후 한국 역사에서도 최단기간에 건국 된 국가입니다. 조선 건국 초기에는 중국의 신생왕조였던 명나라에서도 조선을 감히 무시하지 못했다고 하는데요. 조선 건국 초기 조선이 강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고려 말기 고려의 무장으로 무패의 기록을 써 낸 명장이었습니다. 또한 명나라를 건국한 홍무제 주원장 역시 이성계의 존재 때문에 함부로 조선 침략을 생각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조선 건국 초기 조선이 강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은 사병혁파 때문이라고 합니다. 조선 건국 초기 이성계의 책사라고 불리던 '정도전'은 조선 건국 이후 사병제를 혁파하고자 했고 사병제 혁파로 인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 밀리터리 2017. 11. 20.
동아시아 역사 상 가장 성공한 승자 5명 동아시아 역사는 다른 대륙의 역사들보다 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 역사 상 가장 성공한 승자 5명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홍무제 주원장 홍무제 주원장은 농부 출신으로 주원장이 태어 날 당시 부모님 역시도 기뻐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한 주원장은 원나라 말기 탁발승(승려)으로 살다가 홍건적이 봉기하자 홍건적의 우두머리라고 있는 곽자흥 군단에 가담하게 됩니다. 주원장은 곽자흥 군단에서 공을 세우면서 주목받기 시작했고 결국 곽자흥 군단 2인자로 올라서게 되는데요. 1355년 곽자흥이 사망하자 주원장은 홍건적의 지도자로 추대받았고 결국 파양호 대전에서 진우량을 격파하면서 명나라를 선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주원장은 중국 역사 상 가장 자수성가한 인물로도 평가받고 있다고 합니다. 도쿠가와 이에야.. 밀리터리 2017. 7. 26.
우리가 잘 모르는 고려의 명장 최영 장군의 이야기 5가지 고려의 영웅으로 추앙받았던 최영 장군이 사망 이후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조선 건국기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인상을 심어주었던 최영 장군에 대한 이야기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백전노장 최영 위화도 회군 당시 최영 장군은 개경에 남아있는 병력을 모아 위화도에서 회군한 고려군을 상대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고 합니다. 특히 70세의 백전노장임에도 불구하고 좌군통사 조민수의 대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고 하는데요. 수적으로 몰리자 최영 장군은 이성계에게 붙잡혔다고 합니다. 최영 장군의 유언 최영 장군은 이성계로부터 고봉현이라는 곳에 유배를 가게 되었고 얼마 되지 않아 개경으로 후송되어 개경에서 최후를 맞게 되었다고 합니다. 최영 장군은 죽기전에 유언을 남겼다고 하는데요 최영 장군은.. 밀리터리 2017. 6. 15.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할 수 있었던 이유 5가지 태조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 이후 우왕을 폐위하고 창왕을 옹립하여 권력을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창왕을 폐위하고 자신이 조선을 건국하면서 역성혁명을 실행는데요. 조선 건국 당시 명분이 없었던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인들의 지지 위화도 회군 당시 대부분의 유능한 무인들은 요동정벌에 참여했다고 합니다.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와 좌도통사 조민수와 권력 갈등이 있기는 했지만 결국 좌도통사 조민수는 이성계에게 숙청당하게 되는데요. 결과적으로 위화도 회군 이후 위화도 회군 자체가 반역과 같은 결정이었기 때문에 당시 무인세력들은 이성계를 지지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입니다. 이성계와 사대부의 연대 여말선초 당시 최영과 이성계가 권문세족들을 숙청함에 따라 신진사대부 세력.. 밀리터리 2017. 6. 4.
태종 이방원이 왕자의 난을 일으킨 6가지 이유 안녕하세요. 조선을 강력한 왕권중심 국가로 만든 것은 이성계의 아들인 태종 이방원인데요. 태종 이방원이 왕자의 난을 일으켜서 왕권을 차지하게 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태종 이방원이 왕자의 난을 일으킨 6가지 이유 정도전의 반명정책 정도전은 이성계의 책사로써 이성계를 대신하여 국정을 도맡아 운영해왔습니다. 하지만 정도전은 조선 건국 이후 요동정벌을 한다고 하였는데요. 정도전이 요동정벌을 발표한지 17일 만에 이방원에게 사살 당하게 됩니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정도전은 이방원에게 살려달라 애원했다고 합니다. 친명인사 조선왕조실록에 의거하면 태종 이방원은 명나라 영락제를 만난 적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이방원은 국왕으로 취임한 뒤 친명정책을 펼치면서 명나라와 외교적으로 교류를 활발히.. 밀리터리 2017. 3.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