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병6 한국인이 임진왜란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5가지 임진왜란은 1592년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대륙(명나라) 정벌을 목적으로 벌인 전쟁입니다. 임진왜란은 1592년 임진년에 왜군이 벌인 난리라고 하여 임진왜란이라고 통칭한다고 합니다. 연합국가 형식의 일본 임진왜란 당시 일본 열도의 경우 조선, 명나라와 같은 중앙정부의 집권 방식이 아닌 힘 있는 영주들이 연합한 연합 성격이 상당히 강한 정부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제일 세력이 막강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명령을 내리긴 했지만 조선을 침공했던 왜군의 군사력은 통합체제로 동원이 가능 한 것이 아니었는데요. 일본 열도의 영주들 중 사이에서도 힘이 제일 막강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후에 임진왜란은 바로 종결되었다는 점을 봐야 한다고 합니다. 즉, 당시 일본은 중앙정부가 전쟁을 일으킨 것이 아닌 .. 밀리터리 2018. 3. 1. 더보기 ›› 임진왜란 당시 조선이 반격할 수 있었던 이유 5가지 임진왜란은 1592년 (조선 선조 24년 임진년) 음력 4월 14일부터 1598년 (선조 31년 무술년) 음력 11월 19일까지 7년간 조선, 명나라, 일본 사이에서 벌어진 동북아시아의 국제전쟁입니다. 흔히 임진왜란은 조선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는 경계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분야에서 한국사에 중대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의 정권교체와 장기적으로 중국 대륙의 왕조교체까지 동북아시아 3개국에게 엄청난 영향을 끼친 전쟁입니다. 왕세자 광해군 분조의 각 지방의 의병 봉기 촉구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14대 국왕이었던 선조는 백성들을 버리고 도망갔습니다. 일본군이 개성을 거쳐 평양까지 진격해오자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하였고 일본군이 황해도로 북진해오자 선조는 또 다시 도망가버렸습니다. .. 밀리터리 2017. 7. 5. 더보기 ›› 조선이 임진왜란을 극복할 수 있었던 이유 1592년 일본 열도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명나라를 정벌한다는 목적의 정명가도를 조선에 요청했지만 거절 당했습니다. 결국 일본은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조선을 침공하였는데요. 조선이 임진왜란을 극복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진왜란 발발 초기 일본은 대마도를 거쳐 부산에 상륙하여 동래성을 함락하면서 곧장 조선의 수도인 한양으로 진군했습니다. 이에 조선 조정은 당대 조선 최강의 장수라고 불리는 신립을 필두로 하여 일본군을 막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신립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은 왜군에게 대패하여 일본군이 수도 한양으로 들어가는 길을 열어주게 되었습니다. 결국 당시 조선의 임금이었던 선조는 백성들과 한양을 버리고 몽진을 결정했습니다. 선조의 몽진을 알게 된 조선 백성들은 더 이상 .. 밀리터리 2017. 5. 1. 더보기 ›› 인조반정에 성공한 서인들이 선정한 임진왜란 4대충신 안녕하세요. 광해군을 쫓아낸 인조반정을 계획한 서인들이 반정에 성공하자 조선왕조실록의 일부분인 선조실록은 신빙성이 없다는 이유로 선조수정실록을 편찬했는데요. 인조반정의 승리자인 서인세력이 선정한 임진왜란 4명의 충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시대 서인들이 기록한 임진사충신 4인 고경명 임진왜란 당시 호남을 대표하는 의병장 충렬공 고경명 장군입니다. 고경명 장군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30일 만에 호남 일대에서 6,700명 가량의 의병을 모집했다고 하는데요. 이후 고경명 장군은 웅치 전투와 금산 전투 당시 조선 관군을 구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금산전투에서 무리한 공격 주장이 무리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호남의 의병세력을 대표하는 의병장입니다. 김천일 임진왜란 당시 김천일 장군은 현재의 전라남도 나주에서 의병을.. 밀리터리 2017. 2. 4. 더보기 ›› 조선이 임진왜란에서 승리할 수 밖에 없었던 5가지 이유 임진왜란은 조선민족이 왜군의 침략을 막아낸 전쟁인데요. 한국인들은 이 전쟁을 임진년에 일어난 왜군들이 벌인 난리라고 해서 임진왜란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결국 임진왜란은 조선의 승리로 끝이 나게 되는데요. 조선이 임진왜란에서 승리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조선이 임진왜란에서 승리할 수 밖에 없었던 5가지 이유 곡창지대 호남을 중심으로 한 군대 재편성 조선을 침략한 왜군은 국왕 선조를 잡기위해 호남지역을 점령하지 않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왜군에게 엄청난 타격을 주게되는데요. 호남을 중심으로 조선군이 재편성을 하면서 반격을 시작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주게 됩니다. 결국 호남을 점령하기 위해 왜군은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공격했지만 실패하면서 조선이 반격을 시작하게 되.. 밀리터리 2017. 1. 13.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