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민족반역자9 친일파를 숙청하지 못한 대한민국을 보는 중국인들의 시각 중국 역시 일본의 침략으로 인해 일본의 괴뢰국이라고 불리는 만주국이 중국 만주일대에 세워졌습니다. 특히 동아시아는 일본의 만행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반일감정이 지속되고 있는데요. 친일파를 숙청하지 못한 대한민국을 보는 중국인들의 시각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차세계대전 당시 중국 국민당은 중국 공산당과 국공합작을 하면서 일제에 대항하여 전쟁을 진행했습니다. 중국의 국공합작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는 자유진영과 사회주의진영과의 연대라고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2차세계대전 당시 중국 국민당을 이끌던 장제스 정부는 일제가 패망하자 일제에 협력했던 한간(친일파)를 모두 잡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중국을 지탱하던 정치집단 모두 중국 국민당에 협조하여 한간(친일파)들을 숙청해야 한다는 한 목소리를 낸 것이죠... 밀리터리 2018. 3. 19. 더보기 ›› 일제강점기를 만든 한민족의 철천지 원수 8인 경술국적은 1910년 8월 대한제국에서 대한제국과 일본제국의 병합 조약 체결에 찬성한 민족반역자 친일파 이완용 내각의 8명을 뜻한다고 합니다. 8명 모두 한일합방의 공을 인정받아 일본 제국으로부터 귀족의 작위를 받았으며 현재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친일인명사전에 전원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완용 (내각총리대신)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의 3관왕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친일파의 끝판왕입니다. 1910년 8월에는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이 일본 제국의 각본대로 내각회의를 소집하여 한일병합 관한 건을 상정하였는데요. 이완용은 어전회의에서 황제의 면전에서 한일합병안을 통과시켰으며 한일 병합 조약에 직접 서명하였다고 합니다. 경술국치(한일병합) 이후에는 정기적으로 일본천황에게 .. 밀리터리 2017. 7. 16. 더보기 ›› 친일파를 민족반역자라고 불러야 하는 이유 친일파라는 민족반역자는 대한제국이라는 국가를 일본제국에 팔아먹고 일제에 적극적으로 동조한 협력한 인물들입니다. 물론 생활형 친일파들도 있었지만 일제 해방이후에도 과거에 대한 반성은 추호도 하지 않으며 이들의 만행을 극단적으로 부정하는 놈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친일파는 일본과 친하게 지내는 무리라는 뜻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을 주로 한국인들은 친일파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친일파라는 것은 일본과 친하게 지내는 인물들이라는 의미를 가진 것이라고 하는데요. 역사학자들은 친일파라는 뜻은 일본에게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매국노 정도의 의미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특히 친일반민족행위자들에 대해서는 친일파가 아닌 민족반역자, 친일 반역자라고 불러야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합니다. 특히 친일파라는 뜻은 과거 2차세계대전 당.. 밀리터리 2017. 5. 26. 더보기 ›› 한국인이 반일감정이 생기게 된 대표적인 이유 5가지 일본은 중국과 더불어 동아시아에서 한국에 상당히 많은 영향을 끼쳤던 국가입니다. 역사적으로 얽힌 악연은 현재의 반일감정을 만들게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한국인이 반일감정이 생기게 된 대표적인 이유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인이 반일감정이 생기게 된 대표적인 이유 5가지 고대사부터 이어져온 악연 한국의 고대사인 삼국시대부터 일본 일대에서 생활을 하고 있던 왜구는 한반도 남방부를 자주 침략하고 약탈했습니다. 이 때문에 힘 없는 백성들은 항상 고생을 해야만 했다고 하는데요. 아주 오래전인 고대사부터 이어져 온 악연이 현재까지 이어져 오는 것이라고 합니다. 임진왜란의 참상 1592년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0만의 왜군으로 조선을 침략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조선의 .. 밀리터리 2017. 3. 24. 더보기 ›› 조선이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 4가지 이유 안녕하세요. 한국사에서의 마지막 왕조는 조선왕조인데요. 조선은 한국사에서 한국 근대사를 대표하는 왕조국가입니다. 하지만 조선이 멸망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 많은 이유가 있다고 하는데요. 큰 그림으로 4가지 정도 개인적인 의견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조선이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 4가지 이유 근대화 시기 조선 말기에는 수구파, 친러, 친일, 개혁파로 나뉘어져 있었다고 합니다. 시대적 배경으로 일제에게 암살당한 명성왕후는 친일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친러세력과 교류를 했다고 하는데요. 조선의 멸망 이유에 대해서 정치적으로 엄청 복잡한 이유가 있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외부세력의 등장 세계 형세가 바뀌면서 조선 말에는 외부세력들이 등장했습니다. 조선은 덴마크와 같은 서양의 국가들과 교류를 했다고 하는데요. .. 밀리터리 2017. 1. 23.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