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197

2차 한국전쟁이 일어날 뻔 했던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1976년 8월 18일 판문점에서 일어난 사건을 말한다.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당시 주한UN군은 판문점에 주둔하고 있던 미 육군과 대한민국 육군은 제3초소 부근의 북한군 시야를 가리는 미루나무의 가지치기 작업을 실시하고 있었다. '판문점 도끼 만행사건' 당시에는 판문점은 별다른 군사 분계선이 존재하지 않았고 단어 그대로 공동경비구역이었다. 한국군의 3초소는 조선 인민군 육군 초소 3개소에 포위당한 지점에서 항상 위협에 노출되어 있었고 노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미루나무를 자를 것을 권고했다. 1976년 8월 6일 주한UN군이 미루나무 절단을 시도했는데 북한군이 바로 미루나무 절단에 대해 이의제기를 하면서 작업이 중단되었다. 하지만 경비대는 8월 18일 절단이 아닌 가지치기만 하기로 결정하고 작업에 들어.. 밀리터리 2017. 1. 27.
중국이 통일 한반도를 꺼려하는 이유 7가지 안녕하세요. 현재 중국은 북한과 남한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중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는 이유에 있어서 수 많은 이유가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적어볼까 합니다. 비판은 사양하겠습니다. 중국이 통일 한반도를 꺼려하는 이유 7가지 미국과의 국경 대립 만약 한반도가 통일이 되어 버린다면 한국의 동맹국인 미국은 동맹국 자격으로 압록강변에 주둔을 시작할 것입니다. 중국은 미국과 국경을 맞대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민주주의 사상의 국내 유입 우려 한반도가 통일 되어버리면 동북아시아 3개국 중 유일한 사회주의 국가는 중국입니다. 물론 개방개혁을 통해 반민주주의 체제의 성향을 띄고 있지만 중국을 통치하는 것.. 밀리터리 2017. 1. 17.
한국전쟁 당시 남한의 운명을 지킨 4가지 전투 한국전쟁은 한민족 역사상 최악의 전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전쟁 이후부터는 사회주의 진영인 북한과 자본주의 진영인 남한이 대립구도가 유지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비경쟁으로 전쟁억제력이 제일 강한 지역이 되었는데요. 한국전쟁 초기에 남한의 운명을 지킨 4가지 전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남한의 운명을 지킨 4가지 전투 춘천-홍천 전투 한국전쟁 초기에 춘천-홍천을 점령하고 번개작전으로 전쟁을 끝내려고 했던 북한 인민군의 작전을 막은 전투입니다. 군사학자들은 한국전쟁 당시에 춘천-홍천 전투에서 미군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을 벌었다 하여 중요한 전투였다는 평가가 대부분입니다. 특히 인민군이 서울을 점령 한 후 3일간 무엇을 했는가에 대해서 추측이 상당히 많은데요. 춘천-홍천 전투에서 인민군을.. 밀리터리 2017. 1. 13.
트럼프 행정부는 대북제재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6가지 추측 안녕하세요. 곧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의 임기가 끝나고 도널드 트럼프가 다음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는데요. 미국 대통령 당선자 도널드 트럼프는 대통령 선거 연설에서 김정은을 비롯한 대북정책에 대해 발언하기도 하였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 대부분이니 오해 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 1. 김정은과 햄버거를 먹으면서 대화하겠다? 미국 대통령 당선인인 도널드 트럼프는 대통령 선거 연설에서 김정은과 햄버거를 먹으면 핵무기 문제에 관해 대화를 하겠다고 하였습니다. 햄버거라는 음식은 콜라와 함께 민주주의를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인데요. 개인적인 해석으로는 트럼프 행정부는 핵무기에 관해 북한에 대한 대북제재를 상당히 강력하게 가할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개개인마다 해석하기 나름이겠네요 2. 중국의 한국 사드 보복 현재 중.. 밀리터리 2017. 1. 12.
일제가 패망이후 나타난 세계의 변화 6가지 안녕하세요. 21세기는 평화의 시대인데요. 2차세계대전의 일부인 태평양 전쟁에서 패배한 일본은 전범심판과 전쟁범죄국이라는 판결이 났으며 이로 인해 일제는 패망하게 되었습니다. 일제가 패망이후 나타난 세계의 변화 6가지 국제법에 의한 일제의 군대보유 금지 2차세계대전의 추축국 중 하나인 일제가 마지막으로 연합국에 항복을 하면서 2차세계대전은 종결되었으며 이로 인해 패배국인 일제는 전범국 및 전범에 대한 재판을 받게 되었으며 국제법에 의하여 일본은 최근까지 군대를 보유하지 못했지만 일본의 아베 내각에서 일본이 다시 군대를 보유할 수 있는 국가로 일본 헌법이 바뀌면서 군세를 불려가고 있습니다. 동북아시아에서 일본의 군대보유 금지는 현재까지도 아시아지역의 전쟁 억제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 밀리터리 2016. 1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