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인4

미국인들이 장기기증자를 대하는 방법 지난 1일, 미국 6abc뉴스는 아이다호주 보이시 지역의 한 종업병원에서 장기기증을 한 후 세상을 떠나는 마지막 순간을 전했다고 합니다. 미국인들이 장기기증자를 대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지난 27일, 병원에서 투병 중인 53세 미국인 남성은 상태가 위급해졌고 가족들 곁에서 결국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남성은 자신이 세상을 떠나기 전 장기기증을 하겠다는 약속을 했고 약속대로 장기기증을 하기 위해 수술실로 옮겨졌다고 하는데요. 그가 수술실로 들어가는 길 목에는 간호사, 의사, 환자 할 것 없이 모두 복도에 서 있었고 그의 죽음에 애도를 했다고 합니다. 또한 이 모습은 미국 전역에 알려지게 되었으며 미국 전역을 감동시킨 이야기라고도 하는데요. 미국은 장기기증 문화 캠페인을 활성화시키.. 실시간 이슈 2018. 10. 5.
미국인들이 미군을 존경할 수 밖에 없는 이유 전 세계에서 군인이라는 직업이 가장 존경받는 국가는 바로 미국이라고 합니다. 미군이라는 전 세계 최강의 군대가 미국인으로부터 존경받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은 역사가 300년 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건국 역사가 짧은 국가입니다. 또한 영국의 식민지로 지냈던 역사를 가지고 있기도 한데요. 하지만 미국은 300년이라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1차세계대전, 2차세계대전에서 승리하면서 초강대국으로 성장했고 미국의 화폐인 달러는 세계 공용화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미국인들은 미국이라는 국가가 세계 초강대국이라는 위치와 더불어 미국이 위대한 나라라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미국인들의 자부심은 미군이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어주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미군이라는.. 밀리터리 2017. 12. 9.
미군 신분으로 북한에 월북한 미국인 5명 북한에 월북한 주한미군 또는 미군 신분의 미국인들 중 총 6명이 월북했다는 것이 미 기밀문서가 공개되면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의 기밀문서가 공개되기 전 조선일보는 월북한 미군 출신 미국인들은 한국전쟁 당시 미귀환자로 보도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찰스 로버트 젠킨스 찰스 로버트 젠킨스는 주한미군 육군 하사 출신으로 자진 월북과 탈북을 한 인물이라고 합니다. 찰스 로버트 젠킨스는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는 것이 두려워 10캔의 맥주를 마신 후 취한 상태에서 국경 순찰을 돌겠다고 핑계를 대고 휴전선을 넘었다고 합니다. 찰스 로버트 젠킨스의 아내는 일본인이었는데 아내의 방일이 승인되자 아내는 일본으로 갔고 결국 북한으로 돌아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결국 찰스 로버트 젠킨스는 아내를 보고 싶다는 핑계를 대고 인도네시아.. 밀리터리 2017. 7. 18.
북한이 만들어주는 미국의 선제타격 명분 6가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의 핵무기 압박에 대해 강도를 점 점 올리고 있습니다. 미중 정상회담 이후 중국 역시 미국의 대북압박에 동참한다는 공식 발표를 하였는데요. 미국이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감행한다 하더라도 국제사회로부터 명분을 인정받을 수 있는 6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국 거주 30만 미국인의 안전 현재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미국인은 주한미군 가족들을 포함하여 약 3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부의 군사전문가들은 1994년 제1차 북핵위기 당시 김영삼 대통령이 북한 선제타격에 대한 입장을 바꾸면서 선제타격을 감행하지 못했다고 하는데요. 현재 미국의 강경한 대북압박에 있어서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미국인들의 안전을 책임지기 위한 명분으로 앞세울수도 있다고 합니다. 즉, .. 밀리터리 2017.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