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독립운동가11 일제강점기 시절 독립운동가 현상금 TOP3 일제강점기 당시 일제는 대한의 독립을 위해 일제와 싸우는 독립운동가들에게 현상금을 걸고 지명수배를 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일제가 독립운동가들에게 건 현상금 중에서도 가장 높았던 독립운동가 3인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3위 이승만 전 대통령 (당시 : 30만 달러, 현재 금액 : 50억원) 이승만 전 대통령은 미국에서 독립 운동을 하였으며 일제가 이승만을 잡기 위해 이승만의 목에 30만 달러라는 거금을 걸었다고 합니다. 당시 이승만에게 걸렸던 30만 달러는 현재 원화로 환산하면 50억에 달하는 거금이라고 합니다. 이승만은 미국에서 많은 선교사들을 만나 독립운동을 하였으며 한국인들이 아는 독립 운동과는 다르게 일종의 선교 운동으로 독립 운동을 했습니다. 엄청난 현상금이 걸려있었던 이승만이기도 하지만 이.. 밀리터리 2017. 6. 12. 더보기 ››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민족지도자 7인 안녕하세요. 1919년 3월 1일에는 일제로부터 나를 되찾기 위해 전국적으로 태극기 물결이 일어난 역사적인 날입니다. 일제로부터 나라를 되찾기 위해 독립운동에 헌신하신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민족지도자들을 소개해드릴까합니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민족지도자 7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백범 김구 백범 김구 선생은 대한민국 상해 임시정부 주석으로 한국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독립운동가 1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김구 선생은 일제강점기 시절 민족의 아버지로 존경받았던 인물이라고 하는데요. 실제로 김구 선생의 장례식이 국민장으로 치뤄지자 엄청난 인파가 김구 선생을 애도하기 위해 찾았다고 합니다. 의열단 단장, 약산 김원봉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약산 김원봉 선생은 의열단장으로 유명한 인물인데요. 김원봉 .. 밀리터리 2017. 3. 1. 더보기 ›› 우리가 백범 김구 선생을 잊지 말아야 하는 이유 4가지 백범 김구 선생은 독립군의 아버지이자 민족의 아버지로 평가받고 있는 인물입니다. 1945년 8월 15일 일제 패망 이후 남한으로 귀국한 김구 선생은 타살로 생을 마감하셨는데요. 김구 선생 사망 이후 장례식은 국민장으로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3.1 운동의 전통 계승자 백범 김구 선생은 일제강점기 시절인 1919년 3.1 운동 이후 상해로 망명하여 독립군으로써 대한의 독립을 위해 활동하였는데요. 현재 대한민국의 헌법에는 대한민국은 상해 임시정부를 계승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 선생은 상해 임시정부에서 지도자로 활동했습니다. 상해 임시정부는 대체적으로 무장 독립단체들과 많은 협력을 하였는데요. 특히 독립군은 미군과의 연합작전인 '독수리 작전'을 실행해 일제로부터 해방하려고 .. 밀리터리 2017. 2. 1. 더보기 ›› 우리가 잘 모르는 안중근 의사의 6가지 사실 안녕하세요. 안중근 의사는 일제강점기 시절 중국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에 성공하면서 역사를 바꾸었는데요. 대체적으로 한국인들은 안중근 의사에 대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인물로만 기억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잘 모르고 있는 안중근 의사의 대한 6가지 사실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우리가 잘 모르는 안중근 의사의 6가지 사실 대한의군 참모총장 안중근 의사는 일제강점기 시절 무력독립단체인 대한의군에서 현재의 중장의 계급인 참모총장 직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일제강점기 시절에 활발히 무력적으로 일제에 대해 독립운동을 한 독립운동가입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이러한 사실 때문에 호칭을 장군으로 해야할지 의사로 해야할지 의견이 있다고 합니다. 평화주의적 아시아주의자 평화주의적 아시아주의자를 .. 밀리터리 2017. 1. 21. 더보기 ›› 파란눈의 독립운동가, 조지 쇼우 " 내가 두려워하는 건 역사 뿐이다 " - 연산군 - 1919년 3월 1일 3.1운동 이전에 조선을 떠나 중국 상하이로 탈출한 백범 김구와 15명의 동지들.... 하지만 서해안을 통과할 때 경비선이 나팔을 불고 따라오며 배를 세우라고 명령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영국인 함장은 들은 체도 안하고 전속력으로 경비구역을 지나 무사히 상하이 황푸강 강 나루에 도착하였다고 하는데 조지 쇼우 (아일랜드계 영국인, 1880년 ~ 1943년) 그들은 도운건 조선 독립투사들의 탈출을 도왔던 파란 눈의 영국인 조지 쇼우 였습니다 1919년 5월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교통국이 설치된 건물 이륭양행이라는 건물이었다고 합니다. 이륭양행에서 조선의 독립운동가들은 단체 간의 비밀 통신업무 임시정부의 자금 및 정보 모집.. 밀리터리 2016. 11. 4.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