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태우3

노태우 전 대통령이 그나마 전직 대통령 중 욕을 많이 먹지 않는 이유 노태우 전 대통령은 군사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의 후임자로 대통령에 선출 된 인물입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 그나마 전직 대통령 중 욕을 많이 먹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전두환이 만든 군 사조직인 '하나회' 멤버로써 2인자 역활을 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전두환과는 다르게 정치적 양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는 대통령 임기를 마친 후 구속수감 되었는데요. 그는 구속수감 이후 전두환은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게 확실하다면서 자신도 쿠데타에 일조한 사람이라고 인정했다고 합니다. 또한 그는 법원에서 내린 추징금도 모두 국가에 지불했으며 자신이 연관 된 모든 사건을 인정하고 대국민 사과를 했었는데요. 노태우 전 대통령은 대통령에 당선되자 경제 발전 계.. 실시간 이슈 2018. 5. 20.
대한민국의 3번째 군사쿠데타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었던 폭로사건 당시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내용을 폭로한 윤석양 이병은 대학교 재학시절 '혁명적 노동자계급투쟁동맹' 사건에 연류되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윤석양 이병은 강제로 국군보안사령부에 연행되어 서빙고에서 대공 및 학원사찰 업무를 80일 동안 근무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윤석양 이병은 민간인 사찰 계획의 사찰 대상자 명부철을 포함한 3장의 플로피디스크를 가지고 탈영하였습니다. 탈영한 윤석양 이병은 언론에게 연락하여 기자회견을 했고 이 사건을 폭로하며 양심선언을 하게 되었습니다. 윤석양 이병이 공개한 민간인 사찰 명부철과 이른바 청명계획이라는 것이 국내에 폭로되자 대한민국 국민들은 큰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당시 윤석양 이병이 공개한 사찰 대상 민간인은 총 1,303명으로 사찰 대상자에는 정계, 노동계, 종교계.. 밀리터리 2018. 1. 27.
5.16 군사정변 당시 어떤 반응들이 있었을까? 5.16 군사정변을 시작으로 한국에는 약 30년 간 군부가 통치하는 시대였습니다. 노태우 정부를 끝으로 군부의 통치가 막을 내리고 김영상 전 대통령을 시작으로 민주정부가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국내 지식인들의 반응 5.16 군사정변 이후 당시 지식인들은 군부의 정변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유는 당시 제3세계에서 발생했던 군사정변 대부분이 민족주의적, 개혁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지식인층이 정변을 호의적이었던 것은 지식인들이 4.19혁명 이후 3.15 부정선거가 제대로 청산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완의 혁명에 대한 일종의 책임감과 자성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1962년 4월 16일자 연세춘추에서 실시한 대학생 여론조사에서는 앞으로 이양되어 수.. 밀리터리 2017.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