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광복절3

세계인들이 2차세계대전 종전을 뜻하는 명칭을 알아보자 광복절은 2차세계대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면서 한반도가 일제로부터 해방 된 일을 기리고 있습니다. 한국인들은 2차세계대전 종전을 기리는 말을 광복절이라고도 사용하지만 전 세계 사람들은 2차대전 종전을 어떻게 부르고 있을까요? 2차세계대전 종전을 부르는 각 국의 명칭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8월 15일을 광복절이라고 부르는 나라 8월 15일을 식민통치에서 해방한 광복절이라고 부르는 나라는 인도, 콩고 등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인도, 콩고 등의 국가들은 대한민국과 같은 8월 15일을 광복절이라는 독립기념을 기리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 일본은 8월 15일을 종전기념일로 부르고 있지만 일본 법률에 의한 공식명칭은 '전몰자를 추도하여 평화를 기원하는 날' 이라고 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일본 법률의 공식명.. 밀리터리 2018. 1. 15.
이승만이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 될 수 있었던 이유 대한민국은 2차세계대전 이후 미군정이 3년 간 대리통치를 한 후 중앙정부수립을 선포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박사'는 부정선거를 저질러 4,19 혁명으로 인해 대통령 자리에서 사임했는데요.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중 가장 욕을 많이 먹는 '이승만 박사'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 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일단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의 공식 건국일에 대한 논란이 많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2차세계대전에서 나가사키, 히로시마에 원폭을 뚜들겨 맞은 일본은 일왕 '히로히토'의 결정에 의해 연합국에 항복을 선언했습니다. 항복 이후 미군은 일본 본토로 진입하여 연합군 총사령부를 설립하고 일본을 대리 통치하였는데요. 2차세계대전 당시 연합국측 .. 밀리터리 2017. 10. 14.
시행되지 않은 대한광복군 서울진공작전, 작전명 독수리 1945년 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에 시행되지 않은 불운의 작전이 하나 있었습니다. 이 작전을 미국 전략사무국은 독수리 작전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1910년 을사조약으로 인하여 조선은 일본에 식민지화가 되었고 모든 주권을 일본에 빼앗기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1919년에 일어난 3.1 만세운동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의하여 독립운동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독립운동은 상해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었고 1943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임팔 전투를 비롯한 버마 전역에 한국 광복군을 연합군 자격으로 파견했습니다. 2차세계대전의 전세를 파악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본의 패망이 곧 다가올 것이라고 판단하였는데요. 이에 미국의 OSS, 미국 전략사무국과 협력하여 서울을 탈환하는 계획을 세우게.. 밀리터리 2017.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