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파키스탄4

국가안보가 붕괴되면 절대로 안되는 국가 4개 국가안보라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국가안보가 존재하기 때문에 무력조직인 군대가 존재한다고 합니다. 국가안보가 붕괴하면 절대로 안되는 국가 4개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국 중국은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국가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살고 있는 국가입니다. 또한 중국은 56개 소수민족이 살고 있는 다민족 국가로써 국가안보가 매우 중요한 국가라고 하는데요. 특히 티베트의 경우 인도 정부가 비공식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중국으로부터 독립운동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즉, 중국은 내부 소수민족의 독립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주변국인 인도, 한국, 일본 등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군대를 보유해야만 한다고 합니다. 즉, 중국은 강력한 안보체계가 존재하지 않으면 순식간에 붕괴 할 가능성이 높다고 군사전문가.. 밀리터리 2018. 3. 2.
중국이 미국을 견제하려면 반드시 유지시켜야하는 세력 2개 소련 붕괴 이후 중국과 미국이 대립하는 신냉전이 촉발되었고 신냉전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현재진행형입니다. 중국이 미국을 견제하려면 반드시 유지시켜야하는 세력 2개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파키스탄 파키스탄은 인도에서 독립한 국가로 인도와 수 차례 전쟁을 겪은 국가입니다. 또한 파키스탄은 중국으로부터 안보지원을 받으며 인도를 견제하고 있는데요. 최근 인도가 친미권에 가까운 행동을 보여주며 중국을 크게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또한 인도는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국가 중 가장 군사력이 강한 국가로 중국은 인도를 견제하고 있는 파키스탄을 통해 인도를 견제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는데요. 중국은 혹시모르는 급변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파키스탄을 반드시 유지시켜야한다고 합니다. 북한 북한은 아시다.. 밀리터리 2017. 11. 22.
북한은 어떻게 핵 기술을 보유하게 되었을까? 북한은 현재 6차 핵실험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국제연합은 북한의 6차 핵실험을 방지하기 위해 대북제재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어떻게 핵 기술을 보유하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김일성은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군이 일본 본토에 투하한 원폭의 위력을 누구보다도 더 잘 알고 있었다고 합니다. 때문에 북한은 김일성이 통치하던 시절부터 핵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사전 작업을 진행하였다고 합니다. 북한이 본격적으로 핵 기술을 보유하게 된 것은 1991년 소련 연방의 해체와 붕괴로 인해 핵 기술을 보유하게 되었다는 가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일부 북한 전문가들은 1991년에 소련이 붕괴하면서 소련의 핵 기술이 북한에 유입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하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1991년 소.. 밀리터리 2017. 5. 7.
재미로 보는 2030년 세계 군사력 순위 TOP10 강대국들이 개발하고 있는 차세대 전투기 등은 2020년에 전진배치되어 실전에 투입된다고 합니다. 약 13년 후인 2030년에는 세계 군사력 순위가 어떻게 변경 될 지 개인적인 생각에 빗대어 설명해드릴까합니다. 1. 미국 미국은 2차세계대전 이후 초강대국의 위치로 세계 평화를 지키고 있는 위치에 있는 국가입니다. 미국은 무인 전투기를 비롯한 차세대 전략 무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레이저를 이용한 무기를 개발중에 있다고 합니다. 미국은 2030년쯤 레이저 무기를 비롯한 미군의 모든 전략무기가 무인화되어 전장에 투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2030년에도 여전히 최강의 자리를 지키고 있지 않을까하는 추측을 해봅니다. 2. 중국 전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국방비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중국은 항공.. 밀리터리 2017. 5.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