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진포대첩2 한국 전쟁사 속 위대한 승리들 안녕하세요. 대첩이라는 뜻은 전쟁 중 또는 전투에서 아군이 적을 크게 이겼을 때 쓰는 말로 일반적인 전투보다 높은 단계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대전과도 의미가 약간 겹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 전쟁사 속 위대한 승리들 살수대첩 (612년) 612년 고구려 영양왕 시절 살수(현재의 청천강)에서 고구려 장군인 을지문덕 장군의 주도 아래 이루어낸 대첩으로 2차 여수전쟁의 대표적인 전투 중 하나이며 고구려 원정군 중 2,700명을 제외하고 궤멸당했다고 합니다. 수양제는 2차 고구려침공 이후 3차, 4차 침공을 계속했으나 결국 고구려 정벌에 실패하였으며 무리한 고구려 정벌로 인하여 수나라가 패망하게 되면서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졌습니다. 귀주대첩 (1019년) 1019년 2월에 고려 강감찬 장군이 이끄는 고려군이 .. 밀리터리 2016. 12. 6. 더보기 ›› 최초로 화포를 사용한 해전! 진포대첩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이 벌어지고 당시 정체가 불 분명한 왜구(일본의 해적세력)들이 고려의 전역을 유린하고 있을 무렵 고려 우왕 6년에 벌어진 대규모해전이며 당시 고려 남쪽지방을 어지럽히던 왜구를 격파한 전투로 황산대첩과 더불어서 고려 말의 전투로 유명하다 발생일자 : 고려 우왕 8년 1380년 8월 전쟁지역 : 충청남도 서천 (고려) 교전국 : 고려 vs 왜구(일본의 해적세력) 병력 : 고려측 군함 약 100척 vs 왜구측 군함 약 500척 결과 : 고려 수군의 대승 어떻게 왜구(일본의 해적세력)들이 500척의 대함대를 꾸렸나? 당시의 왜선 500척은 왜구의 역사를 통틀어도 가장 압도적인 규모에 속하는데 어떤식으로 대규모 함대가 등장했는지 확실하게 알기는 어렵지만 일본 큐슈지방의 남조세력이 다카기, 아마.. 밀리터리 2016. 9. 30.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