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북한군5

정보원 때문에 발칵된 북한 6군단 쿠데타사건 북한 6군단 쿠데타 사건은 북한에서 발생한 몇 안되는 반란 시도로 알려져 있는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1995년에 함경북도 청진시 나남구역에 주둔하고 있던 북한의 제6군단 정치위원(소장계급)이 정권 전복을 기도했던 사건이라고 합니다. 정확한 쿠데타 계획은 북한이 군사쿠데타 음모사건이라고 국내에 공개를 하게 되면 북한사회에 일으킨 엄청난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고 하는데요. 이 때문에 6군단 쿠데타 사건은 북한 내부에서 외화벌이와 관련 된 비리사건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사건정황 사건 당시 북한 6군단은 함경북도 지역을 방어하는 향토군단으로 청진시 라남구역에 사령부를 둔 중국 접경지대의 수비군이었습니다. 북한 6군단 휘하에는 보병 3개사단과 포병 1개사단 그리고 방사포 4개 여단으로 구성되어.. 밀리터리 2017. 12. 28.
최전방 북한군 병사들이 한국군을 부러워하는 이유 한국전쟁 휴전 이후 대한민국과 북한은 국경을 맞대고 대치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북한 최전방 군사들은 대한민국 국군 장병들을 보고 부러워한다고 하는데요. 최전방 북한군 병사들이 한국군 병사를 보고 부러워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북한의 군 복무기간은 13년으로 10년이 넘는 세월이기 때문에 10대 후반에 입대를 하게 될 경우 30대 초반이 되서야 전역한다고 합니다. 때문에 최근 북한 내부에서는 자본주의가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출세보다도 돈을 더 벌어야 한다며 입대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는데요. 하지만 북한 최전방에서 근무하는 북한 인민군 병사들은 한국이 징병제를 실시하는 국가인 것은 알지만 군 복무기간이 1년 10개월이라는 부분에 있어서 매우 부러워한다고 합니다. .. 밀리터리 2017. 12. 18.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귀순한 북한 병사를 통해 본 북한의 현실 얼마 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북한군의 총알을 맞고 한국측으로 도망온 북한병사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군 병사는 도망오는 과정에서 총알을 여러차례 맞아 병원으로 이송 후 수술을 통해 그가 깨어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데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의 총격을 뚫고 귀순한 북한 병사를 통해 북한의 현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한국측으로 귀순하다가 북한군이 쏜 총격에 총상을 북한측 병사를 수술한 의사는 '이국종' 아주대 교수입니다. '이국종' 교수는 국내에서도 최고의 의사로 손꼽히고 있는 의사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실제 '이국종 교수'는 아덴만 여명작전 당시 해적에게 총상을 입은 석해균 선장을 살려 화제가 되었던 인물이기도 합니다. 아무튼 판문점 공동경비.. 밀리터리 2017. 11. 20.
현재까지 공개된 북한의 전차부대 4가지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전차는 한국전쟁 당시 소련으로부터 원조를 받아 사용했던 전차들이라고 합니다. 물론 시간이 흘러 개조형으로 공개를 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구세대식 전차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고 합니다. T-55 북한군의 주력전차로 약 2,000여 대 가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T-55 전차는 1947년 생산된 1세대 전차라고 하며 100mm 포를 장착하고 있지만 서방권의 90mm 포를 가진 전차에 비해 명중률이 떨어지며 방호력도 낮다고 합니다. T-55의 전면 장갑은 200mm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한국군의 K-21 40mm 기관포에도 관통 당하는 걸로 알려져 있는 것을 보면 실제로 동네북 수준이라고 합니다. 천마호 (T-61) 천마호는 구 소련에서 개발한 T-62 전차를 개량.. 밀리터리 2017. 6. 22.
한국군 vs 북한군 한국군이 이길수 밖에 없는 3가지 이유 북한이 일으킨 한국전쟁이 다시 발발한다면 북한은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초기 당시처럼 수도 서울을 3일 만에 점령하고 한국을 상대로 전쟁에서 과연 승승장구하며 남하할 수 있을까요? 군인들의 체력과 정신력, 보급 북한 최전방에서 근무하다가 휴전선을 건너 남한으로 귀순 의사를 밝혀 탈북한 북한 장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남한으로 귀순한 북한 장교들의 증언에 의하면 북한 최전방 군인들이 먹는 음식은 옥수수밥과 소금에 절인 배추, 무가 전부라고 합니다. 하지만 한국군의 군 보급시스템은 판문점 경계선에 있는 사진만 보아도 한국군과 북한군의 보급, 신체면에서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최첨단 무기보유 현황 1950년 한국전쟁 발발 당시 북한군은 소련이 지원해준 소련제 최신식 탱크 등 당시 최첨단무기를 가지고 전쟁을.. 밀리터리 2017.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