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백선엽6

살아 있는 전설, '백선엽 장군'이 5성 장군으로 추대되지 않는 이유 백선엽 장군은 한국전쟁 당시 국군 1사단을 이끌며 부산 낙동강 전선 중 하나인 다부동 전투를 승리로 이끈 대한민국 예비역 장군입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육군은 백선엽 장군은 5성 장군으로 추대하려고 했지만 국민적 반발로 인해 추대되지 않았는데요. 한국전쟁의 영웅으로 평가받는 백선엽 장군이 5성 장군으로 추대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백선엽 장군은 대한민국 육군 중에서도 한국전쟁 당시 미 육군 장군들로부터 능력을 인정받았던 장군입니다. 또한 백선엽 장군은 한국전쟁 발발 이후 부산으로 후퇴한 후 미 지원군과 함께 낙동강 전선을 수립하여 북한군의 공세를 막아냈는데요. 또한 백선엽 장군은 젊은 나이에 한국전쟁 도중 빠른 속도로 진급하여 4성 장군으로 진급하는 명예를 얻어내기도 했습니다. 또한 백.. 밀리터리 2018. 1. 12.
한국전쟁의 영웅 백선엽 장군이 육군 원수로 추대되지 못하는 이유 백선엽 장군은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의 다부동 전투에서 지휘관의 신분으로 선두에서 돌격한 것으로 유명한 한국군 장성입니다. 그런데 한국전쟁 영웅으로도 평가받는 백선엽 장군을 대한민국 육군 육군원수로 추대하는 부분에 있어서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을까요? 백선엽 장군의 육군원수 추대를 반대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선엽 장군은 이북(북한) 출신으로 일제가 만주에 세운 봉천군관학교를 졸업한 후 간도특설대로 전근하여 3년 동안 근무했다고 합니다. 간도특설대는 만주 일대에서 활동하는 무장독립조직을 주로 상대하는 부대였다는 점 때문에 민족반역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백선엽 장군의 자서전인 '군과 나' 에서자신의 군 복무 이력을 언급하였고 자서전에 자신의 간도특설대 경력을 밝혔지.. 밀리터리 2017. 7. 22.
한국전쟁 참전용사 어르신들이 기억하는 한국전쟁 전투 9가지 미국과 소련의 냉전기를 대표하는 전쟁 중 하나인 한국전쟁은 세계대전급 전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어르신들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말하는 한국전쟁 당시 전투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춘천 지구방어 전투 한국전쟁 발발 초기 6월 25일부터 30일 사이 국군 6사단이 강원도 춘천에서 홍천방면으로 남하하던 북한 인민군 제2군단의 공세를 저지한 전투입니다. 춘천 방어선 전투는 국군 6사단은 북한군의 폭풍작전을 실패하게 만든 전투로 어르신들은 춘천 지구방어 전투 덕에 미군과 낙동강 전선을 형성할 수 있었다고 증언하고 있다고 합니다. 낙동강 방어선 전투 국군 1사단이 미군과 함께 북한군의 공격을 낙동강 전선에서 방어하면서 한국군의 반격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는 전투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쟁 참.. 밀리터리 2017. 6. 12.
한국전쟁에서 한국을 지켜준 월튼 워커 중장 1912년 웨스트포인트 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1차세계대전에서 기관총부대의 중대장으로 참전한 것으로 군생활을 시작했고 2차세계대전에서는 조지 S.패튼이 지휘하던 제3야전군 산하의 20군단장으로 참전했는데 빠른 기동성과 활약으로 월튼 워커가 지휘하는 부대의 별명이 '유령군단' 이라고 불릴 정도였으며 다만 나이에 비해 진급이 늦었다는 평을 들었으나 한국전쟁에서 보듯이 비정치적이었고 기자들이나 외부인사들의 방문을 아주 싫어 했다고 한다 월튼 해리스 워커(Walton Harris Walker) 1889년 12월 3일 ~ 1950년 12월 23일 "한국전쟁에서 대한민국이 살아남을 수 있게 해준 2세대 영웅들의 아버지" "맥아더와 더불어 한국전쟁에서 가장 큰 공로를 세운 인물" 6.25 한국전쟁 참전 월튼 워커 중장.. 밀리터리 2016. 10. 29.
한국전쟁에 대한 8가지 여담들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미국과 UN연합군의 참전 그리고 중국의 참전과 러시아의 지원으로 국제전쟁으로 번지게 된 한국전쟁에 대한 7가지 여담에 대해 알려드릴까 합니다 여담이다 보니 사실적인 관계와 많이 틀릴 수 있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한국전쟁에 대한 8가지 여담들 첫번째 여담 만약 한국전쟁에서 UN연합군과 미국이 북한의 공산주의에게 패배하여 한번도가 공산화 되었 을 경우 미국정부는 오세아니아에 있는 서사모아나 제주도에 새로운 한국 또는 망명정부를 세울 계획이었다고 한다 두번째 여담 미국의 역사학자 존 톨랜드가 미군 제24사단 윌리엄 딘 장군의 유족을 찾아가 알아본 바에 따르면 당시 윌리엄 딘 장군이 한국전쟁 중에 얻어먹었던 음식 중 하나가 마늘장아찌였는데 윌리엄 딘 .. TOP시리즈 2016. 10.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