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백린탄5

인간이 어디까지 잔인해 질 수 있는지 보여준 민족 전 세계는 다양한 민족들이 살고 있고 한반도는 단일민족이 살고 있는 지역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인간이 어디까지 잔인해 질 수 있는지 보여준 민족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014년 여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민간인 거주 지역에 대대적으로 공습을 실시했다고 합니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민간인 거주 지역에 대대적 공습을 실행했을 당시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민간인 지역에 백린탄을 투하했다고 하는데요. 이스라엘이 민간인 거주 지여게 백린탄을 투하한 사실이 국제사회에 알려지자 이스라엘은 국제사회로부터 엄청난 지탄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민간인 거주지역에 투하된 것은 155mm 백린탄으로 백린탄은 제네바 협약에 의거해 민간인에 대한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고 .. 밀리터리 2018. 7. 20.
한국전쟁 이후 북한군 수뇌부가 가장 경악하는 대한민국 육군 장군 한국전쟁 휴전 이후 한반도는 분단국이 되었으며 공식적으로 70년간 휴전상태이니 전쟁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북한군 수뇌부가 가장 경악하는 대한민국 육군 장군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한국전쟁 휴전 이후 북한군 수뇌부가 가장 경악하는 대한민국 육군 장군은 1973년 대한민국 육군 3사단 사단장을 맡았던 '박정인 장군'이라고 합니다. '박정인 장군'은 북한군이 국군 초소에 따발총을 연사한 보복으로 북한군 초소에 '백린탄'을 발사하여 북한군 초소를 초토화시킨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 일로 대한민국 육군 3사단은 최전방 북한군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국군 부대가 되었다고 하는데요. 이 증거로는 1975년 남한으로 귀화 한 북한군 장교 유대윤 소위가 당시 일을 증언했다고 합니다. 북한군 장교 유대.. 밀리터리 2018. 5. 30.
북한 인민군이 국군 3사단 백골부대를 무서워하는 레전드 사건 사건의 발달은 한국전쟁 이후 1973년 3월에 있었던 일로 이 사건으로 인해 북한 인민군이 육군 3보병사단을 무서워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무슨 이유 때문에 북한 인민군이 우리군 3사단을 무서워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973년 3월... 어느날 강원도 철원에 주둔하고 있던 육군 제3보병사단 백골부대 장병들은 비무장지대 표지판 보수작업을 하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육군 3사단 백골부대 장병들이 비무장지대 표지판 보수작업을 하고 있는 도중 북한측 초소에서 기습사격이 날라왔다고 합니다. 북한 인민군 초소에서 날라온 기습사격으로 3사단 소속 대위 1명과 하사 1명이 중상을 입고 작업을 중단하고 사단으로 급하게 복귀했다고 하는데요. 이 소식을 들은 당시 육군 제3사단 백골부대 사단장이었던 박정인 장군은 북한군.. 밀리터리 2017. 2. 26.
북한이 두려워하는 남한의 4가지 무기 전 세계에서 가장 낙후되거나 인권 탄압이 제일 심한곳이 북한입니다. 하지만 북한은 선군정치를 통하여 군사력과 핵무기 개발에만 신경을 쓰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여 화제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북한이 두려워하는 남한의 4가지 무기 1. 백린탄 주로 연막 등에 사용되는 일종의 조명탄으로 발화용 폭탄입니다. 백린탄은 인간이 만든 사상 최악의 무기중 하나로 백린이라는 물질이 한번 몸에 묻으면 불이 붙기 시작하는데 물로도 꺼지지도 않으며 살을 도려내는 방법 이외에는 없다고 합니다. 2. MLRS (다연장 로켓 방사포) MLRS(다연장 로켓방사포)를 남한에서 도입할 당시 북한에서는 "같은 동포끼리 저런 흉악한 무기를 쓸 생각하는 남조선을 규탄한다" 라고 하였으며 최대 사거리는 45km로 한발에 축.. 밀리터리 2016. 12. 13.
인류가 만들어 냈지만 사용을 금지시킨 최악의 무기 '백린탄' 백린탄이란 백린을 이용하여 연막 내지 소이용도 폭탄의 일종이라고 합니다. 백린은 발화점이 60도 정도로 매우 낮으며 한 번 연소하면 격렬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데 타면서 대량의 연기를 내뿜는다고 하는데요. 백린탄은 바로 이 특징을 이용한다고 알려져 있는 무기라고 합니다. 이러한 백린탄은 타면서 대량의 연기를 뿜어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제 법 상으로는 너무나도 잔인한 무기라고 판단되어 개방지역이 아닌 곳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고 합니다. 백린은 한번 불리 붙으면 물을 붓는것으로는 꺼지지 않으며 만약 사람의 몸에 붙었을 때에는 마치 촛농처럼 들러붙어서 떨어지지 않고 불에 타게 된다고 하는데요. 백린은 물을 부으면 더 넓은 면적으로 퍼지고 더 강한 열을 발생시키며 유독성 물질을 뿜어내 처리가 굉장히 곤.. 밀리터리 2016. 12.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