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몰락작전2 일본을 세계 지도에서 없애버릴 목적이었던 '몰락작전'이 취소된 이유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일본이 항복하지 않자 계획한 작전은 바로 몰락작전(Operation Downfall)입니다. 미군 100만 명 이상이 투입되어 일본을 세계지도에서 지워버릴 목적이었던 작전인 몰락작전이 취소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몰락작전은 2차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유럽전선에서 항복하자 포츠담 회담이 열렸고 미국은 포츠담 회담을 근거로 일본에게 항복을 권고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미국의 항복 요구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지속적으로 전쟁을 벌였는데요.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사실 태평양 전선보다도 유럽 전선의 상황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참전 초기에는 유럽 전선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 육군이 유럽전선에 투입되자 연합국은 프랑스를 수복하고 총반격을 통해 나치 독일과 .. 밀리터리 2017. 12. 29. 더보기 ›› 미군이 일본어를 지옥에서나 들을 언어로 만들 생각으로 짠 작전 2차세계대전 말기 미군이 항복하지 않는 일본을 상대로 일본을 몰락시키기 위해 짠 작전으로 작전명은 '몰락작전' 이라고 합니다. 올림픽, 코로셋 작전으로 구성 된 '몰락작전'은 원폭투하와 만주 작전 등으로 인해 일제가 항복하자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원폭 투하 이후 '몰락작전'은 취소되고 일본 점령 작전인 블랙리스트 작전으로 교체 되어 실행되었다고 합니다. '몰락작전'에 총 동원되려고 했던 병력은 육군, 해군, 공군 총합 1,074,600명 정도로 통계를 잡고 있다고 합니다. 프랑스 상륙작전인 노르망디 상륙작전보다 더 큰 규모의 작전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몰락작전'은 현재까지도 미군만이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 작전이라고 합니다. 올림픽 작전(Operation Olympic)은 미군이 일본 본토에 대한 폭격.. 밀리터리 2017. 5. 8.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