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맥아더7

2차대전 이후 미국은 어떻게 일본을 통치할 수 있었을까? 일본은 2차세계대전 이후 일본에 연합군사령부인 GHQ를 설치하고 일본은 약 7년 간 통치했습니다. 2차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어떻게 일본을 통치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시다시피 일본은 2차세계대전 추축국으로 미국과의 전쟁에 패배하였습니다. 패배한 후 미국 정부는 일본에 연합군사령부(GHQ)를 설치하고 일본을 직접적으로 통치하기 시작했는데요. 실제로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사령관이었던 맥아더는 GHQ(연합군사령부)를 운영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맥아더가 미군정(GHQ)를 운영했을 당시 일왕 '히로히토'에게 인간선언을 하게하여 굴욕을 주기도 했다고 합니다. 특히 일본 왕은 일본 국민들에게 신성시 되던 직책으로 현재도 수 많은 일본 국민이 일본 왕을 믿고 신임한다고 하는데요. 미국이 일왕 '히로.. 밀리터리 2018. 4. 12.
한국전쟁 당시 한국을 살린 '맥아더 장군'에 대한 미국에서의 평가 3가지 맥아더 장군은 인천상륙작전을 지휘하여 북한 인민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북진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든 한국전쟁의 영웅입니다. 그렇다면 맥아더 장군의 자국인 미국에선 맥아더 장군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결정적인 판단 착오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진주만을 폭격했을 당시 일본군의 다음 폭격지는 필리핀으로 확실시 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리핀에 주둔하고 있던 미 공군을 산개시키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태평양 함대를 잃은 미군은 일본 비행장을 공습할 공군 전력을 잃게 되었고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고 합니다. 2.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 국군과 유엔군이 평양을 점령하고 북진을 하고 있는 동안 중국의 인민지원군은 국경선에서 대기하고 있었고 국군과 유엔군이.. 밀리터리 2018. 3. 1.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의 '인천상륙'을 정확히 예측한 중국측 인물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의 '인천상륙'을 정확히 예측한 인물은 중국 초대 총리를 지낸 '저우언라이'라고 합니다. '저우언라이'는 중국 공산당 창립 멤버로써 중국인들에게 매우 존경받는 인물이라고 하는데요. 특히 '저우언라이'는 미-중 수교 당시에도 미국 수뇌부들에게도 젠틀하다는 인상을 남기며 큰 호감을 얻었던 인물입니다.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의 '인천상륙'을 정확히 예측한 '저우언라이'의 이야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한국전쟁 발발 초기 '저우언라이'는 전쟁에서 승승장구하며 김일성이 들떠 있을 때 김일성에게 미국이 개입할 것이라고 몇 차례 경고를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근자감(근거없는자신감)에 들떠 있었던 김일성은 '저우언라이'의 충고를 듣지 않았는데요. '저우언라이'는 김일성의 행동을 보고 혹시 모를 상황에 .. 밀리터리 2018. 1. 27.
한국전쟁 당시 맥아더 장군이 트루먼 대통령에게 제안한 내용 3가지 맥아더 장군은 한국전쟁 발발 당시 유엔군 사령관 자격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습니다. 또한 맥아더 장군은 인천상륙작전을 계획한 미국의 장군으로도 매우 유명한데요. 한국전쟁 당시 맥아더 장군이 트루먼 미국 대통령에게 제안한 내용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국과의 전면전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의 참전으로 인해 유엔군과 국군이 밀리는 상황에서 맥아더 장군은 중공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서는 중국과의 전면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맥아더 장군과 트루먼 대통령이 갈등을 빛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사실 한국전쟁 당시 미국 행정부였던 트루먼 행정부는 기존 남한의 영토였던 38도선을 회복하는 수준에서 평화조약을 맺을 예정이었다고 합니다. 중국 만주에 핵투하 요구 맥아더 장군은 미국 트루먼 대통령에게 중국 만.. 밀리터리 2017. 7. 19.
한국전쟁 당시 맥아더가 트루먼에게 핵 투하를 요구한 이유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김일성은 남한에 대한 불법 남침을 감행했습니다. 북한 인민군은 남한에 대한 불법 남침을 감행할 당시 소련제 최신식 탱크를 앞세워 서울을 포함하여 위성도시들을 함락하여 국군을 낙동강 전선까지 몰아세웠습니다. 결국 미군과 국군은 낙동강 전선에서 치열한 전투를 진행하였고 국제연합군은 맥아더 사령관의 지휘 아래 인천에 상륙하게 되었습니다. 인천에 상륙한 연합군은 서울을 수복하였으며 북진을 감행하여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북진통일의 꿈도 잠시 중국 동북에 주둔하고 있던 중공 제4야전군이 명칭만 변경한 채 북한을 지원하고자 한국전쟁에 참전을 감행했습니다. 당시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공군은 대략 10만 명 정도의 대규모 병력이었습니다. 중공군은 이른바 인해전술이라는 보병 기.. 밀리터리 2017.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