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남도발4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북한의 대남도발 사건 5가지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한국전쟁이 휴전을 체결 한 이후 북한은 지속적으로 남한에 대해 도발을 감행했습니다. 우리가 절대로 잊어서는 안되는 북한의 대남도발 사건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아웅산묘소 폭탄 테러사건 1983년 10월 9일 현재의 미얀마를 방문 중이었던 전두환 전 대통령 일행의 암살을 시도한 북한의 폭탄테러입니다. 아웅산에서 일어난 폭탄테러는 북한이 전두환 전 대통령을 목표로 실행한 폭탄테러라고 합니다. 하지만 전두환 전 대통령은 스케줄 지연 덕분에 폭탄이 터진 장소에는 없었다고 합니다. 아웅산묘소 폭탄사건은 대한민국 정부 수행원들의 희생을 낳았으며 현재도 많은 어르신들이 기억하고 있는 북한의 대남도발 중 하나라고 합니다. 천안함 피격사건 대한민국 해군 천안함이 2010년 3월 26일.. 밀리터리 2017. 4. 23. 더보기 ›› 중국이 북한에게 화내는 이유 6가지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북한에 대한 제재에 동참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기존에도 북한은 중국에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들을 주로 했었는데요. 중국이 북한에게 화내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북한판 왕자의 난의 결말 북한의 김정은은 자신의 이복형인 김정남을 일명 스탠딩 오더를 통해 김정남을 숙청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북한판 왕자의 난은 김정은의 승리로 끝나게 된 것인데요. 하지만 김정남 숙청 이후 중국 역시 김정남 숙청사건의 배후로 북한의 김정은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김정남은 북한의 급변사태시 김정은을 대체할 만한 인물로 보호하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이 때문에 중국은 북한에 대해 매우 불쾌함을 표현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중국은 김정남의 장남인 김한솔을 대안으로 생각하여 중국에서 보호하고 있다고.. 밀리터리 2017. 4. 16. 더보기 ›› 2016년에 일어난 북한의 대남도발사 2016년 역시 북한의 김정은은 남측에 대남도발을 하기 시작했는데 현재도 지속되고 있으며 2016년 현재까지 일어난 대남도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6년 1월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 (자칭 수소폭탄 실험) 2016년 1월 13일 북한 무인기 남한 영공 침공, 국군의 경고사격으로 물러남 2016년 1월 12일(대남 전단살포) 북한이 대북 확성기 송출 중단과 박근혜 대통령을 비난하는 내용이 담긴 삐라를 수도권에 집중적으로 뿌린 사건, 1월 12일부터 15일까지 4일동안 경기도 부근에 떨어진 전단은 수만장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 중 수거된 전단은 2만 5천장 정도된다고한다. 대남 전단은 북한 인민군 제2군단이 살포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또한 전단을 넣은 대형 비닐풍선에는 타이머와 자.. 밀리터리 2016. 10. 28. 더보기 ›› 일제 해방이후부터 현재까지 북한의 대남 도발사 (1940년대 ~ 2000년대) 북한의 대남 도발사를 볼 경우 큰틀에서 보아야하는데 도발의 특징을 살펴보면 80년대까지는 주로 공비나 간첩침투가 절대적이었다면 90년대 이후로는 핵미사일,NLL관련 도발이 대다수를 차지합니다. 북한의 대남첩보원 발각횟수 : 5,500회 (1953년~1980년)잡히거나 사살된 북한측 공작원 및 무장공비 : 2,973명(1953년~1980년) 1940년대 1945년 해방 후 남과북이 각기 다른 정권이 들어서면서 혼란의 해방공간의 상황은 남북교전으로 이어졌다. 북한은 북한대로 내부정리가 빠르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끊임없이 국지전을 감했다. 국지전을 감행한것은 신생 조선인민군의 교리와 전투능력을 시험하기 위한 부단한 시험이었다고 보여지기도 하며 교전이 하도 많이 때문에 신문 상에 기사화 되지 않은것도 많았다고 한.. TOP시리즈 2016. 9. 8.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