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UN연합5

외국인들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한국전쟁을 어떻게 부르고 있을까? 한국전쟁은 냉전시대를 대표하는 전쟁으로 한국인들에게는 뼈아픈 기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들은 한국전쟁을 어떻게 부르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적 통용 명칭 유럽을 포함하여 아메리카 지역 또는 동남아시아 지역 일부에서는 'Korean war'라고 부르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 한국전쟁이라는 명칭은 공식적으로 세계인들이 부르는 명칭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유럽 일부에서 'korean war'가 아닌 잊혀진 전쟁이라고 불리는 사례도 있다고 합니다. 2차대전 이후 오늘 날까지 가장 많은 미군 사상자가 생긴 전쟁인데도 불구하고 베트남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 묻혀 대대적으로 알려진 전쟁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에서 부르는 명칭 미국 역시 한국전쟁 공식 통용 명칭인 한국전쟁이라는 명칭을 공식적으.. 밀리터리 2018. 1. 6.
전 세계 사람들은 한국전쟁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한국전쟁은 당사국인 남한, 북한에 추가하여 전투 병력을 파병한 참전국의 숫자로만 보면 국제연합 소속 16개국과 북한에 파병을 한 중국을 포함하면 총 17개국이 된다고 합니다. 6.25 한국전쟁은 인류 역사 상 가장 많은 국가가 한국을 돕고자 지원한 것으로 기록된 전쟁이며 기네스북에 오른 전쟁이기도 합니다. 냉전시대에서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으로 보는 시각 북한은 개전 당시에 명분도 선전포고도 없이 기습적으로 무력 침공을 했습니다. 실제로 2차대전 종전 이후 초강대국으로 성장한 미국, 러시아가 남한과 북한을 군정으로 3년간 통치하였습니다. 이러한 체재대립 때문에 남한은 미국, 이북은 소련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 한국전쟁은 냉전 초기 당시 미국과 소련이 직접적으로 충돌한 것이 아.. 밀리터리 2017. 8. 3.
외국인들이 보는 한국전쟁에 대한 시각 5가지 한국전쟁은 2차세계대전 이후 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세계대전급 전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인들은 한국전쟁을 민족의 대참사로 기억하고 있지만 외국인들의 시각에서 한국전쟁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네스 북에 기재된 전쟁 한국전쟁 당시 한국을 지원한 국가는 총 67개국이고 1950년대 당시 세계 국가들 중 73%가 한국을 지원한 전쟁입니다. 인류 역사 상 가장 많은 국가들이 한국을 돕고자 지원 것으로 기네스 북에도 기록되어 있는데요. 영국이나 프랑스 등은 이전 2차세계대전까지 타국의 침공을 당했던 경험도 있었다고 하는데요. 이 때문에 프랑스, 영국 등은 2차세계대전의 참상을 기억하면서 한국을 돕고자 참전하였다고 합니다. 현재도 진행 중인 전쟁 한반도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이며 한.. 밀리터리 2017. 6. 11.
한국전쟁 이후 국가별 실태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일자 : 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 장소 : 한반도, 동해, 황해 결과 : 한반도 휴전선 형성, 한반도 분단, 남,북 적대적 갈등 본격화 한국 (North Korea, Republic of Korea) 미국의 통계에 따르면 60만 명이 전쟁 중 사망하였고 전체 참전국의 사망자를 합치면 모두 200만 명에 달한다고 공식발표했으며 한국의 사망자는 100만명이 넘으며 그 중 85%는 민간이라고 예측하고 있으며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한반도 전체가 폐허가 되었고 특히 일본이 만들어 놓았던 북한 지역의 대규모 공업지역은 폭격으로 완전히 기능을 상실하였으며 한강의 다리는 모두 끊어져 수 많은 전쟁고아가 생겼습니다 이후 독일 광부, 간호사 파견과 베트남 전쟁 참전으로 미국과 독일 등 해외 각 .. 밀리터리 2016. 10. 24.
북한이 초조해 하는 이유 4가지 동북아시아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며 국가 체제성을 사회주의 국가이다 현실적으로 서방세계와 외국의 국가들은 북한을 독립된 하나의 국가로 인정하고 있으며 심지어 국제연합기구인 UN에도 가입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북한을 불법 반 국가 무장 단체로 취급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비공식적으로 일단 북한을 하나의 독립 정권으로 취급 하는듯 하며 현재는 전 세계에서 핵무기 실험으로 인한 비 상식적인 국가로 손가락질 받고 있다 북한이 초조해 하는 이유 3가지 중국과 더불어 사회주의 체제 국가들의 개혁개방 중국의 경우에는 덩샤오핑(등소평)의 지도 아래 1978년 12월에 중국 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회 전체회의에서 중국의 개혁개방이 제안되면서 중국의 경제시장이 열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밀리터리 2016. 10.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