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반도39

중국이 통일 한반도를 꺼려하는 이유 7가지 안녕하세요. 현재 중국은 북한과 남한의 통일을 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중국이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는 이유에 있어서 수 많은 이유가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적어볼까 합니다. 비판은 사양하겠습니다. 중국이 통일 한반도를 꺼려하는 이유 7가지 미국과의 국경 대립 만약 한반도가 통일이 되어 버린다면 한국의 동맹국인 미국은 동맹국 자격으로 압록강변에 주둔을 시작할 것입니다. 중국은 미국과 국경을 맞대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의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민주주의 사상의 국내 유입 우려 한반도가 통일 되어버리면 동북아시아 3개국 중 유일한 사회주의 국가는 중국입니다. 물론 개방개혁을 통해 반민주주의 체제의 성향을 띄고 있지만 중국을 통치하는 것.. 밀리터리 2017. 1. 17.
조선이 임진왜란에서 승리할 수 밖에 없었던 5가지 이유 임진왜란은 조선민족이 왜군의 침략을 막아낸 전쟁인데요. 한국인들은 이 전쟁을 임진년에 일어난 왜군들이 벌인 난리라고 해서 임진왜란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결국 임진왜란은 조선의 승리로 끝이 나게 되는데요. 조선이 임진왜란에서 승리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조선이 임진왜란에서 승리할 수 밖에 없었던 5가지 이유 곡창지대 호남을 중심으로 한 군대 재편성 조선을 침략한 왜군은 국왕 선조를 잡기위해 호남지역을 점령하지 않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왜군에게 엄청난 타격을 주게되는데요. 호남을 중심으로 조선군이 재편성을 하면서 반격을 시작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주게 됩니다. 결국 호남을 점령하기 위해 왜군은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공격했지만 실패하면서 조선이 반격을 시작하게 되.. 밀리터리 2017. 1. 13.
한국전쟁 이후 동북아시아에 끼친 영향들 1950년 6월 25일에 북한이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아 불법 남침을 감행하여 전쟁이 시작되었으며 1953년 7월 27일 부로 휴전이 된 전쟁이다 정확하게 말해서 정전협정에 의해 정전이 된 것이다보니 언제 어디서 어떻게 전쟁이 다시 시작될지 모른다고 볼 수 있다 일부에서는 한국 정부가 정전협정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종전이라고 보는 시각도 일부 존재한다고 한다 전쟁일자 : 1950년 6월 25일 ~ 1953년 7월 27일 휴전 : 1953년 7월 27일 ~ 현재까지 장소 : 한반도와 부속영토 전쟁발발이유 : 북한 공산군의 불법 남침 결과 : 정전협정으로 인한 무승부 / 사실상으로 현재까지도 진행 중 경제적 피해 북한측 : 공업기반의 절반파괴, 30억달러 또는 국부의 1/4 남한측 : 전력의 74%, .. 밀리터리 2016. 10. 4.
한반도통일에 대한 가능성 4가지 최근에 한반도에 대한 예언들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북한은 공산정권 체제강화를 하기위해 공포정치 등 수 많은 악행을 저지르고 있습니다. 한반도가 통일이 되면 많은 문제점이 있을거라고 하는데 북한의 김정은정권이 흔들리고 있으니 한반도 통일에 대한 시나리오 4가지를 개인적인 생각에 빗대어 써보려고 합니다. 한국의 주도에 의한 흡수통일 (가능성 3% ~ 5%) 한국에 민주정권인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민의정부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여정부에서는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헤어진 이산가족들의 상봉을 적극추진하면서 북한과의 대화를 시도하려 했으나 김일성의 아들 김정일이 사망한 후 김정일의 아들인 김정은이 북한에 집권하고 한국에서는 보수정권인 이명박정권과 현재 한국 대통령인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게 되는데 이후에는 한국정부에.. TOP시리즈 2016. 9.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