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탄금대 전투2

외국인의 눈으로 본 일본이 '탄금대 전투'에서 승리한 이유 탄금대 전투는 임진왜란 발발 초기 1952년 4월 28일에 충청도 충주 인근 탄금대에서 일어난 전투입니다. 특히 탄금대 전투는 임진왜란 3대 패전에 속 할 정도로 뼈아픈 기록이기도 한데요. 외국인의 눈으로 본 일본이 '탄금대 전투'에서 승리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임진왜란 당시의 기록을 기록한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을 비롯한 태합기의 자료를 비교해보면 탄금대 전투 당시 투입 된 인원을 대체적으로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선조실록과 태합기를 비교해보면 탄금대 전투 당시 투입 된 병력은 조선측 8천에서 최대 1만 6천 명, 일본측은 1만 8천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당시 외국인으로써 임진왜란을 기록한 포르투갈의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가 쓴 '일본사'에는 '탄금대 전투'의 기록이.. 밀리터리 2018. 3. 3.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이 탄금대에서 패배한 이유 6가지 임진왜란 발발 초기 조선의 정규군은 탄금대에 배수의 진을 치고 조선에 침략한 왜군을 막고자했습니다. 하지만 왜군의 막강한 조총부대에 의해 신립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정규군은 전멸 당하게 되었는데요. 임진왜란 당시 조선 정규군이 탄금대에서 패배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면전 선택 임진왜란 발발 초기 신립 장군은 상주라는 지역을 포기하고 기병들이 싸우기 좋은 탄금대라는 평야일대를 선택했습니다. 왜군은 당시 최신식 무기인 조총을 무장하고 있었으며 장거리 공격이 가능했기 때문에 기마대가 접근조차 못했다고 합니다. 지휘관의 선택으로 전투지역을 평야로 선택하는 바람에 왜군의 조총부대에 의해 8,000명의 조선군은 전멸 당했습니다. 조선 최고의 장군이라는 오만함 조선왕조실록과 서애 류성룡이 쓴 징비록의 기록에.. 밀리터리 2017.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