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친미국가2

북한이 갑자기 '친미노선'으로 바꾸게 된 결정적인 이유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의 일정과 장소를 공개했습니다. 또한 미국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북한을 방문해 북한 당국 주요당직자들과 비공개 회담을 가졌다고 하는데요. 북한이 갑자기 '친미노선'으로 바꾸게 된 결정적인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아시다시피 어린시절 스위스에서 학창시절을 보냈습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어린시절 스위스라는 중립국에서 지내오면서 서양 세계의 문물을 어느정도 익힌 인물이기도 하다고 하는데요.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실제로 값 비싼 외제제품을 사용해오고 있으며 집무실에는 미국 '애플'의 '아이맥'으로 업무를 보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스위스에서 학창시절을 보내 '민주주의'의 개념과 공산주의의 개념을 어.. 밀리터리 2018. 5. 13.
미국이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위해 위해 실시한 정책 2차세계대전 이후 세계는 소련의 공산주의 진영과 미국의 민주주의 진영이 대립했고 이를 '냉전'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한국전쟁 이후 세계에 공산주의권 국가들이 새롭게 건국되는 것을 보고 대책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미국이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위해 실시한 정책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존 F.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은 대통령에 당선되자 경제관료들과 측근들을 모아 '공산주의권' 국가들이 확산되는 것에 대해 문제점을 파악해라는 지시를 했다고 합니다. 존 F. 케네디 미국 전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미국의 엘리트 경제관료들과 그의 측근들은 문제점을 파악하기 시작했고 공통점을 찾아냈다고 합니다. 실제 1960년 대 당시 공산주의 사상을 가진 인물들이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아 활발하게 활동하기 시작했고.. 밀리터리 2018. 5.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