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국군10

중국이 중국군의 현대화를 추진하게 된 이유 중국군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빨리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는 군대로 세계 3위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중국군의 현대화를 추진하게 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은 개혁개방을 통해 엄청난 경제성장을 하는 가운데 중국의 현대화도 동시에 추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중국은 항공모함을 건조할 수 있는 국가로 성장했으며 차세대 전투기까지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한데요. 중국이 중국군의 현대화를 추진하게 된 이유는 1979년 2월 17일부터 1979년 3월 17일까지 발생한 '중월전쟁' 때문이라고 합니다. '중월전쟁'은 중국-베트남 전쟁을 뜻하는 전쟁으로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노선대립과 분열을 상징이 되었다고 하는데요. 중국군은 베트남 공격 당시 총 병력 20만 명에 전차 550여 대를.. 밀리터리 2018. 6. 11.
사이버 전을 전담하기 위해 창설 된 중국군 부대 21세기에 접어들고 인터넷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사이버 전은 매우 중요한 군종(군대의 종류)이 되었습니다. 사이버 전을 전담하기위해 창설 된 중국군 부대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는 사이버 전을 전담하기 위해 2016년 1월 1일부로 '전략지원부대'를 창설했다고 합니다. 기존 중국군에는 각 군종별로 전자전, 사이버전, 우주전 부대를 따로 운용해왔지만 중국군의 개혁에 따라 군을 통합시킨 것이라고 하는데요. 또한 이들은 2016년 1월 1일 자로 부대가 창설되면서 중국 인민해방군을 이루고 있는 육/해/공/로켓군/무경과 더불어 동급의 군종으로써 인정받고 운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즉, 중국 중앙위원회는 미국이 사이버 전을 통한 정보수집을 비롯한 정보체계를 구축함에 따라 '전략지원부대.. 밀리터리 2018. 2. 19.
만약 '3차세계대전'이 발발한다면 연합국을 상대하는 국가는 어디일까? 만약 3차세계대전이 발발하게 될 경우 연합국은 미국, 한국, 일본, 영국 등을 중심으로 연합국으로 구성될 것같습니다. 그렇다면 미국 동맹국인 연합국을 상대하는 국가들은 어디일까요? 만약 3차세계대전이 발발한다면 연합국을 상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국 중국은 '개혁개방'을 통해 급속도로 경제성장을 이룩하면서 군사강국으로 거듭났습니다. 특히 중국은 2017년 기준 세계 3위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군에서 근무하는 상비군의 수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통계되었는데요. 중국은 사회주의권 국가로 3차세계대전을 일으키거나 발발하게 될 경우 미국의 반대편으로 서서 참전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파키스탄 파키스탄은 인도와의 몇 차례 전쟁을 진행했지만 패배했고 파키스탄은 .. 밀리터리 2018. 2. 14.
일본 언론이 말하는 '중국판 인천상륙작전'은 가능할까? 일본 언론이 최근 중국 해군육전대가 대규모로 산동성 집결하고 있다고 일대로 보도를 했습니다. 또한 일본 언론은 중국 산동성 일대에 집결하는 중국 해군육전대가 제2차 한국전쟁을 대비하여 '중국판 인천상륙작전'을 준비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하기도 했는데요. 일본 언론이 말하는 '중국판 인천상륙작전'은 가능한 시나리오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 해군육전대의 규모는 대략 2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최대 중국 해군육전대의 규모를 10만 명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해군육전대의 확장 발표는 대만 점령을 비롯한 '제2차 한국전쟁'을 대비하기 위해서라고 추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중국 해군육전대라는 조직은 쉽게 풀이해서 미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와 같은 육, 해상에서 전투가.. 밀리터리 2018. 2. 13.
우리가 잘 모르는 동아시아의 패자로 불리는 '중국군'의 진실 중공군이라고 불리는 중국 인민해방군은 중국의 안보를 지키고 있는 중국의 군대입니다. 그런데 중국의 안보를 지키고 있는 중국 인민해방군은 국가의 군대가 아니라고 하는데요. 세계 3위 전력 '중국 인민해방군'의 진실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중국 국공내전 당시 '팔로군'이라는 조직이 중국 공산당에 의해 개편되어 역사가 시작 된 조직입니다. 또한 중국의 역대 국가주석들은 정권을 위임받게 되면 가장 먼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주석자리부터 위임받게 되는데요. 중국 인민해방군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중국 공산당의 '홍군'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면 '홍군'이라는 조직은 중국 공산당 소속의 군대라고 합니다. 때문에 '홍군'에서 개편된 '팔로군' 다음 개편된 '중국 인민해방군'이라는 조직은.. 밀리터리 2018. 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