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왜나라3 고구려가 고대국가 중 동북아 최강국이었던 이유 8가지 안녕하세요. 한반도 고대 국가 중에서도 가장 넓은 영토를 보유하고 있었던 고구려는 당대 최강의 국가였습니다. 또한 중국에도 많은 영향력을 끼쳤는데요. 고구려가 고대국가 중에서도 동북아 최강국이었던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고구려가 고대국가 중 동북아 최강국이었던 이유 8가지 만주 일대의 여러 부족의 속국화 고구려의 정복전쟁은 광개토대왕 시절부터 시작하였는데요. 고구려는 만주일대에 포진되어 있는 부족들을 지배하면서 고구려의 백성들은 여러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대표적으로 말갈족이 대표적이죠. 북경까지 진군 했던 고구려 삼국사기 중 고구려 본기를 보시면 현재의 북경일대인 유주에 진이라는 인물을 파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유주자사 진이라고 하는데요. 후연과.. 밀리터리 2017. 1. 18. 더보기 ›› 임진왜란 당시 강화협정에 대한 새로운 학설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와 일본은 강화협정이라는 것을 통해 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려고 했다. 대체적으로 알려져 있는 강화협정과는 다른 형태를 띄우고 있는데 최근 역사학자들이 연구한 내용에 있어서는 기존의 임진왜란 당시 강화협정에 대해서 부정되고 있다. 현재의 글은 최근의 논문을 요약한 것이라고 보면된다 명나라의 참전으로 인해 상황이 악화되자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명의 강화사에게 제시한다 1. 평화조약을 보증하기 위해 명나라 황녀를 일본 천황의 후궁으로 삼는다 2. 무역을 재개한다 3. 일본과 명나라 양국 대신이 각서를 교환한다 4. 조선 8도 가운데 4도를 일본에 이양한다. (조선의 4도 :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경기도) 5. 조선의 왕자와 신하 1~2명을 볼모로 일본에 보낸다 6... 밀리터리 2016. 11. 7. 더보기 ›› 임진왜란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들 1592년 (조선 선조 25년 임진년) 4월 14일 부터 1598년 (선조 31년 무술년) 11월 19일까지 7년간 조선-명나라 vs 일본 사이에서 일어난 국제전쟁이며 흔히 조선시대의 전기와 후기를 구분하는 경계로 이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한국사에 중대한 분수령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일본의 정권교체와 장기적으로 중국 대륙의 왕조교체까지 동북아시아에 있는 3개국 역사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 전쟁이라고 볼 수 있다 날짜 : 1592년 5월 23일 ~ 1598년 12월 16일 장소 : 한반도 (조선) 표면적 명분 : 일본의 정명가도 의사를 조선 조정이 거부 승리국가 : 조선-명나라 임진왜란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들 1. 당시 일본은 중앙집권식 국가가 아니었다 당시 일본의 정부 체제는.. 밀리터리 2016. 10. 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