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예비군13

전역한 후 첫 동원훈련장 배정받은 예비군에게 발생한 대참사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인 'FM코리아'에는 전역하고 첫 동원훈련을 배정받은 한 예비군이 쓴 글이 화제가 되고 있다고 합니다. 전역한 후 첫 동원훈련장 배정받은 예비군에게 생긴 대참사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해당 글을 쓴 예비군의 주특기는 유류병으로 현역으로 군 복무를 했을 당시 연대에 하나 밖에 없는 유류병이었다고 합니다. 글쓴이의 사수는 글쓴이가 유류병의 보직을 받기 전 DMIS라는 부대 물자 등록으로 2천 만원 어치의 기름을 입력하지 않고 전역했다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 글쓴이는 상병 3호봉까지 야근하면서 힘든 군 생활을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글쓴이는 상병 3호봉까지 야근하면서 힘든 군 생활을 했고 이후 무사히 전역을 하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전역한 후 글쓴이는 학생 예비군이 끝나고 첫 동.. 밀리터리 2018. 12. 1.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대한민국 예비군을 두려워하는 이유 4가지 대한민국 예비군은 대한민국 정부가 가장 의지하는 전투예비전력으로 군 복무를 한 대한민국 남성들은 예비군에 편성되어 예비군 훈련을 받게 됩니다.동북아시아 국가들이 대한민국 예비군을 두려워하는 이유 4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전쟁시 모든 장비 운용가능 대한민국 예비군 편제를 보면 다양한 군종들이 포진되어 있습니다. 특히 예비군들은 현역 시절 탱크를 운전해본 경력자들이 포진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한 군공 장교 출신 예비군들은 전투기를 조종해 본 경험이 있어 전투기 운용 역시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때문에 대한민국과 인접한 주변국들은 대한민국의 최대 전력을 예비군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전쟁 시 동원 가능한 병력 대한민국 예비군의 편제는 300만 명으로 전쟁 발발시 대한민국 정부는 300만 명의 예비군을.. 실시간 이슈 2018. 9. 16.
대한민국에 만약 '계엄령'이 선포된다면 대한민국의 운명은?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국가로 1990년 6월 항쟁을 통해 문민정부가 들어섰습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군사독재로 인해 많은 대한민국 국민들이 고통당했는데요. 대한민국에 만약 '계엄령'이 다시 선포된다면 대한민국의 운명은 어떻게 될지 예측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주에는 전두환의 독재에 항거하기 위해 '광주민주화운동'이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전두환은 전라도 광주에서 발생한 '광주민주화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하고 '계엄군'을 광주로 파견했는데요. 이로 인해 전라남도 광주에는 수 많은 시민들이 사망했고 유가족이 생겨나게 되면서 아픈 역사가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헌정 사상 첫 탄핵을 당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촛.. 밀리터리 2018. 3. 29.
전투에 바로 투입이 가능한 예비군을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 TOP5 예비군은 무장 상태로 대비하는 상비군(현역)이 아닌 전쟁 발생 시 군대 내 병력 부족 등을 비롯한 급변사태를 대비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비군의 대상은 전역 민간인 또는 군사훈련이 가능한 민간인으로 대한민국은 현역을 전역한 민간인 남성들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전투에 바로 투입이 가능한 예비군을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 TOP6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위 북한 (820만 명) 한반도 이북에 위치한 북한은 주민 전체가 군인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어린 나이부터 군사훈련을 받는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북한은 전쟁 발발 시 최대 820만 명의 예비군을 동원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군사전문가들은 북한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예비군을 동원할 수 있지만 보.. 밀리터리 2018. 2. 20.
중국과 일본이 대한민국 예비군 전력을 두려워 할 수 밖에 없는 이유 대한민국 국방부의 공식 발표에 의하면 대한민국 군 전역자 중 예비군 훈련을 받는 예비군은 '300만 명'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대한민국 예비군은 대한민국 안보를 지키고 있는 가장 강력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중국과 일본이 대한민국 예비군 전력을 두려워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예비군은 대한민국의 정책에 따라 의무적으로 만 20세가 되면 군대에 입대하여 약 2년 간의 군 복무를 마치고 전역한 예비역 입니다. 또한 예비군들은 약 2년 간 군 복무를 하며 혹한기, 유격훈련 등을 모두 경험하기도 했는데요. 예비군들은 기본군사교육을 받는 논산훈련소, 306보충대 등에 입대하여 기초적인 군사훈련을 모두 받았기 때문에 기본적인 전투력은 배운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대한민국 예비역들.. 밀리터리 2018. 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