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군8 임진왜란 당시 조선수군이 사용했던 대표 전략전술 5가지 1592년에 벌어진 임진왜란 당시 조선이라는 나라를 구한 조선수군이 사용했던 대표적인 전략전술 5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릴텐데요. 이는 저의 개인적인 주장이며 공식적으로 발표된 내용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추가로 비난 또는 욕설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학익진 전법 학익진 전법은 이순신이 이끄는 전라좌수군을 포함하여 조선 수군이 연합함대를 구축하면서 한산도 인근에서 일본 수군을 박살낸 전법입니다. 조선 수군의 전법에서도 가장 유명한 전법이며 학익진 전법으로 인해 일본 수군이 한반도 남해안 장악권을 상실해버렸으며 조선의 반격을 시작을 알리는 조선 수군의 대표 전법입니다. 일자진 전법 조선 수군이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전법으로 일자로 뱀처럼 쭉 서서 적을 화포로 공격하는 전법입니다. 대표적으로 왜군의 본진.. 밀리터리 2017. 12. 25. 더보기 ›› 이순신 장군의 조선 수군이 무적이 될 수 있었던 이유 5가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은 조선의 주력선이었던 판옥선을 이용한 포격 위주의 전술을 구사하며 일시 집중타로 일본 수군의 함선을 침몰시키는 전략을 사용하곤 했습니다. 당시 조선의 화포 사거리가 그렇게 길지 않았으며 함포 사거리가 5km를 넘는 시대는 19세기 후반부터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이 사용하던 화포의 사거리는 그다지 길지 않았다고 합니다. 솔선수범과 공정한 신상필벌을 바탕으로 한 부하들의 신뢰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은 지휘관의 직책을 수행함에 있어 전라좌도 수군에 편제 되어 있는 병졸들의 가족관계 및 생활 등 등 모르는 것이 없었다고 합니다. 특히 병사들간의 의견 마찰로 일방적인 불이익을 얻은 병졸들에게 있어 중립적인 입장으로 해결하였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병사들과 .. 밀리터리 2017. 6. 17. 더보기 ›› 한민족 역사상 해군력이 가장 강했던 시기들 한민족은 대체적으로 육지에서 전투를 벌였던 민족입니다. 하지만 한민족 역사속에서도 많은 해전이 존재하는데요. 한민족 역사상 해군력이 가장 강했던 시기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민족 역사상 해군력이 가장 강했던 시기들 대한민국 해군 2017년 현재 충무공 이순신함을 비롯한 해군 전투력을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 해군입니다. 주변 이웃국가들보다는 해군력이 많이 뒤쳐지기는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 해군은 한민족 역사상 가장 강력한 해군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수군 임진왜란 당시 민족을 구한 조직은 바로 의병조직과 조선 수군이었습니다. 일본사기에 기록되어 있는 조선수군은 당대 최강이었다는 기록이 존재하고 있는데요. 심지어 일본의 해군 제독인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 역시 조선 수군의 총사령관 이순.. 밀리터리 2017. 3. 28. 더보기 ›› 임진왜란 당시 왕세자 광해군의 역활 5가지 안녕하세요.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국왕이었던 선조는 왜군들이 한양까지 쳐들어오자 백성들을 버리고 도망갔는데요. 역사학계에서는 광해군이 반정으로 왕의 자리에서 물러났지만 임진왜란 당시 왕세자로써의 활약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왕세자 광해군의 역활 5가지 조선의 전시 군 통수권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선조는 급히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하였는데요. 이후 광해군은 왕세자의 자격으로 분조를 이끌고 이천에서 조선군의 군 통수권자로써 활동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조선의 백성들을 포함한 조선 정규군이 컨트롤 타워의 지휘를 받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선조를 대신한 조선의 국왕 대행 선조가 의주로 도망간 이후 광해군은 이천에서 활동하였습니다. 광해군이 이끌고 있던 분조는 서애 류성룡 등 조선의 주요 관직을 담.. 밀리터리 2017. 1. 19. 더보기 ›› 조선이 임진왜란에서 승리할 수 밖에 없었던 5가지 이유 임진왜란은 조선민족이 왜군의 침략을 막아낸 전쟁인데요. 한국인들은 이 전쟁을 임진년에 일어난 왜군들이 벌인 난리라고 해서 임진왜란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결국 임진왜란은 조선의 승리로 끝이 나게 되는데요. 조선이 임진왜란에서 승리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릴까합니다. 조선이 임진왜란에서 승리할 수 밖에 없었던 5가지 이유 곡창지대 호남을 중심으로 한 군대 재편성 조선을 침략한 왜군은 국왕 선조를 잡기위해 호남지역을 점령하지 않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왜군에게 엄청난 타격을 주게되는데요. 호남을 중심으로 조선군이 재편성을 하면서 반격을 시작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주게 됩니다. 결국 호남을 점령하기 위해 왜군은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공격했지만 실패하면서 조선이 반격을 시작하게 되.. 밀리터리 2017. 1. 13.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