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백의사2

김일성이 가장 두려워해야만 했던 반공조직 비밀결사 백의사 백의사는 일제강점기 말기부터 해방 정국의 우익테러단체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백의사를 조직한 사람은 염응택으로 가명 염동진으로 더 잘 알려져있는 인물이라고 하는데요. 백의사는 상해 임시정부와 연계하여 공산주의 인사들에게 테러를 감행한 것으로 유명한 조직이라고 합니다. 백의사는 상해 임시정부 주석인 김구보다도 상해 임시정부 내무부장인 신익희 라인이라고 보면 된다고 합니다. 백의사라는 조직은 중국 국민당의 남의사를 모방해서 조직한 우익단체를 경향한 전문테러단체라고 합니다. 일제 해방 이후 미군정 시기에서도 수 많은 우익인사들을 암살, 테러를 자행하기도 하였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백의사를 지휘하는 총사령관은 염동진이었다고 합니다. 백의사의 조직원들은 직업군인, 해안 경비대, 세관원, 경찰관, 소방관, 정부.. 밀리터리 2017. 6. 11.
우리가 백범 김구 선생을 잊지 말아야 하는 이유 4가지 백범 김구 선생은 독립군의 아버지이자 민족의 아버지로 평가받고 있는 인물입니다. 1945년 8월 15일 일제 패망 이후 남한으로 귀국한 김구 선생은 타살로 생을 마감하셨는데요. 김구 선생 사망 이후 장례식은 국민장으로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3.1 운동의 전통 계승자 백범 김구 선생은 일제강점기 시절인 1919년 3.1 운동 이후 상해로 망명하여 독립군으로써 대한의 독립을 위해 활동하였는데요. 현재 대한민국의 헌법에는 대한민국은 상해 임시정부를 계승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 선생은 상해 임시정부에서 지도자로 활동했습니다. 상해 임시정부는 대체적으로 무장 독립단체들과 많은 협력을 하였는데요. 특히 독립군은 미군과의 연합작전인 '독수리 작전'을 실행해 일제로부터 해방하려고 .. 밀리터리 2017. 2.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