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반공주의2

대한민국에 '반공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게 된 계기 대한민국은 세계 어느나라보다 반공주의 사상이 강한 국가로 특히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어 반공(반 공산주의)가 강한 국가입니다. 대한민국에 '반공주의'라는 것이 본격적으로 시작 된 계기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945년 8월 15일 일제로부터 해방한 후 한반도에는 공산주의와 민주주의가 대립하고 있는 건 알고 있었지만 반공주의라는 것이 대국민적으로 있지 않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제 해방 이후 이북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남한쪽으로 내려오면서 반공주의라는 것이 조금 씩 확산되기 시작했다고 하는데요. 대한민국에 본격적으로 '반공주의'사상이라는 것이 발생하게 된 것이 1950년 6월 25일 김일성이 일으킨 한국전쟁으로부터 시작 된 것이 계기라고 합니다. 한국전쟁 발발 이후 북한은 점령하는.. 밀리터리 2018. 2. 28.
한국전쟁 이후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6가지 인식 안녕하세요. 1950년 6월 25일에 북한 김일성의 지시로 북한 인민군이 38도선을 불법 남하하면서 한국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한국인들이 사회주의라는 공산주의 개념에 대한 느낀점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으로 서술해볼까 합니다. 이는 지극히 개인적인 주장이니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한국인들이 느낀 6가지 반공주의 사실 사회주의라는 개념이 한국인들에 인식이 박히게 된 것은 중국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들 중에서도 사회주의권 인사들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상해 대한민국 임시청사 내부에서도 사회주의권과 자본주의권 인사들로 나뉘어 있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국전쟁이 터지면서 한국 국내에는 공산당은 무조건 처단해야 할 적으로 국가적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핵무기에 대한 위협감 김일성.. 밀리터리 2017. 4.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