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아시아3 미국인들은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을 어떻게 생각 할까? 주한미군은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탱하고 있는 전략 동맹주둔군으로 북한의 전쟁발발을 억제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시작전권이 미군에 있는 상황에서 일부 대한민국 국민들은 주한미군 철수에 대해 찬성하는 분위기도 일부 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미국과 미국인들은 주한미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미국인 대부분은 미군이 베트남과 이라크 같은 곳에서 큰 낭패를 본 모습을 보았기 때문에 해외에 주둔하고 있는 자국 군대를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또한 미국인들은 BBC, NBC와 같은 메이저 뉴스에서 북한에 대한 뉴스를 다루게 되면 해외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에 대한 걱정을 하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미국인들은 의미없는 전쟁이라고 불리는 베트남.. 밀리터리 2018. 2. 18. 더보기 ›› 사실 상 일본이 동아시아에서 가장 약한 국가라는 이유 동북아는 전 세계에서 가장 긴장도가 높은 지역이지만 한편으로는 전쟁억제력이 가장 강한 지역입니다. 대체적으로 북한이 동북아에서 가장 약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하지만 사실 동북아에서 일본이 가장 약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본이 사실 상 동북아에서 가장 약한 국가라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일본은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에게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면서 전쟁 범죄국으로 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전쟁범죄에 대한 조치로 일본은 정규군을 보유하지 못하게 되었는데요. 하지만 일본 아베 총리 내각에서 정규군을 보유할 수 있도록 헌법이 개정되면서 일본 자위대 전력을 늘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한국, 러시아, 중국, 미국 등의 눈치를 보며 슬금슬금 군사 전력을 증가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밀리터리 2018. 2. 16. 더보기 ›› 한국 정부가 대한민국 해군력 증강에 눈을 돌린 이유 최근 동아시아 군비경쟁에 있어 대한민국 역시 해군력 증강에 많은 예산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가 해군력 증강에 눈을 돌린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해군은 현재 세종대왕 함을 비롯한 최신 이지스 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대한민국 국민들은 아직 대한민국 해군이 도입해야 할 전력이 많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동아시아의 군비 경쟁은 대체적으로 1991년 소련 연방의 해체로 인해 군비경쟁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소련 연방의 해체는 냉전시대를 끝내는 결정적인 사건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사건인데요. 중국은 당시 개혁개방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있었습니다. 중국이 경제성장을 하게 되면서 동아시아의 군비경쟁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공군력을 포함.. 밀리터리 2017. 5. 8.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