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제사회3 외국인들이 보는 한국전쟁에 대한 시각 5가지 한국전쟁은 2차세계대전 이후 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세계대전급 전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인들은 한국전쟁을 민족의 대참사로 기억하고 있지만 외국인들의 시각에서 한국전쟁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네스 북에 기재된 전쟁 한국전쟁 당시 한국을 지원한 국가는 총 67개국이고 1950년대 당시 세계 국가들 중 73%가 한국을 지원한 전쟁입니다. 인류 역사 상 가장 많은 국가들이 한국을 돕고자 지원 것으로 기네스 북에도 기록되어 있는데요. 영국이나 프랑스 등은 이전 2차세계대전까지 타국의 침공을 당했던 경험도 있었다고 하는데요. 이 때문에 프랑스, 영국 등은 2차세계대전의 참상을 기억하면서 한국을 돕고자 참전하였다고 합니다. 현재도 진행 중인 전쟁 한반도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이며 한.. 밀리터리 2017. 6. 11. 더보기 ›› 중국이 국제사회에 협력할 수 밖에 없는 이유 6가지 안녕하세요. 현재 미국은 북한의 경제제재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언론 보도를 보면 중국은 형식상의 국제사회의 협력을 하는 것이며 몰래 북한과의 교류를 통해 북한에 지원을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하지만 중국이 어찌하여 동맹국인 북한을 나두고 국제사회에 협력할 수 밖에 없는 이유 5가지 이유에 대해 소개할까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이니 비판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중국이 국제사회에 협력할 수 밖에 없는 이유 5가지 1. 강대국이 되자는 중국의 꿈 미국의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 이후 중국의 기업체가 제재를 무시하고 북한과의 무역거래를 진행 했던 것으로 세계적으로 보도가 되었는데요. 중국 정부는 미국의 항의에 있어 해당 기업체를 철저하게 조사했습니다. 이러한 중국의 적극적인 국제사회의 협조는 시진.. 밀리터리 2016. 12. 18. 더보기 ›› 북한이 초조해 하는 이유 4가지 동북아시아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며 국가 체제성을 사회주의 국가이다 현실적으로 서방세계와 외국의 국가들은 북한을 독립된 하나의 국가로 인정하고 있으며 심지어 국제연합기구인 UN에도 가입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북한을 불법 반 국가 무장 단체로 취급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비공식적으로 일단 북한을 하나의 독립 정권으로 취급 하는듯 하며 현재는 전 세계에서 핵무기 실험으로 인한 비 상식적인 국가로 손가락질 받고 있다 북한이 초조해 하는 이유 3가지 중국과 더불어 사회주의 체제 국가들의 개혁개방 중국의 경우에는 덩샤오핑(등소평)의 지도 아래 1978년 12월에 중국 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회 전체회의에서 중국의 개혁개방이 제안되면서 중국의 경제시장이 열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밀리터리 2016. 10. 10.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