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경분쟁3 인도가 중국과의 국경분쟁에 있어서 절대로 물러서지 않는 이유 중국과 인도는 국경지대인 둥랑 일대에 병력을 배치하여 대치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현재 인도군과 중국군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은 1962년 중국-인도 국경분쟁과 비슷한 양상을 띄고 있다고 하는데요. 인도가 중국과의 국경분쟁에 있어서 절대로 물러서지 않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962년 10월부터 12월 사이에 벌어진 중국과 인도의 짧은 전쟁을 대체적으로 중인전쟁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또한 중인전쟁은 정치적 갈등으로 빛어진 사건으로 당시 중국 공산당 수뇌부의 중인전쟁 계획안 승인으로 인해 중국군이 인도 국경지대를 침공하면서 발발했다고 합니다. 또한 중인전쟁 발발 이후 인도 정부는 미국 정부에게 폭격을 요청했고 반격을 위해 병력을 모으는 동안 중국은 전쟁의 진행이 중국에게 불리해지자 일방적으.. 밀리터리 2017. 8. 18. 더보기 ›› 한달이 넘도록 군사대치 중인 중국-인도 분쟁 요약 중국군과 인도군이 현재 한달이 넘도록 중국-인도 국경지대에서 군사 대치중인 상황이라고 합니다. 중국과 인도가 국경을 맞대고 군사를 배치하여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요약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국과 인도의 국경지대인 시킴이라는 지역은 1962년에 벌어진 중국-인도 국경분쟁에서 중국이 승리하면서 중국의 영토로 편입된 지역입니다. 그런데 한달 전 중국군이 시킴 지역에 도로 건설을 하자 인도군이 중국군의 도로 건설을 저지하면서 충돌이 발생했다고 하는데요. 결국 중국은 인도군의 행동을 보복하기 위해 불도저를 동원했고 불도저는 결국 인도군 초소를 밀어버렸습니다. 시킴 지역의 인도군 초소를 불도저를 동원하여 밀어버린 중국군에 대항하기 위해 인도 정부는 시킴 지역에 군사 3천 여명을 배치하게 되었는데요. .. 밀리터리 2017. 7. 23. 더보기 ›› 2차세계대전 이후 중국이 당사국으로 참전한 전쟁 6개 중국은 세계 군사력 3위의 군사강국이자 경제대국이며 소련이라는 강대국과 맞짱을 뜰 수 있는 굉장한 배짱을 가진 나라입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선포 이후 중화인민해방군이 개입했던 전쟁 또는 분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전쟁 (북한측으로 참전개입) 1946년 당시 2차세계대전이 끝난 직 후 세계는 사회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중국은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중국 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수립을 선포했습니다. 1950년 발발한 한국전쟁에서 연합군이 참전하자 중국은 북한 김일성의 요청에 의해 중공 제4야전군을 중화인민지원군으로 개명하여 북한측에 참전하였습니다. 베트남전쟁 (북베트남측으로 참전개입) 베트남 전쟁은 공식적으로 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며 중국군이 개입한 것은 3차 인도.. 밀리터리 2017. 6. 1.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