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선의병2

임진왜란 당시 조선이 반격할 수 있었던 이유 5가지 임진왜란은 1592년 (조선 선조 24년 임진년) 음력 4월 14일부터 1598년 (선조 31년 무술년) 음력 11월 19일까지 7년간 조선, 명나라, 일본 사이에서 벌어진 동북아시아의 국제전쟁입니다. 흔히 임진왜란은 조선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는 경계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분야에서 한국사에 중대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의 정권교체와 장기적으로 중국 대륙의 왕조교체까지 동북아시아 3개국에게 엄청난 영향을 끼친 전쟁입니다. 왕세자 광해군 분조의 각 지방의 의병 봉기 촉구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14대 국왕이었던 선조는 백성들을 버리고 도망갔습니다. 일본군이 개성을 거쳐 평양까지 진격해오자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하였고 일본군이 황해도로 북진해오자 선조는 또 다시 도망가버렸습니다. .. 밀리터리 2017. 7. 5.
임진왜란에서 조선군이 승리한 6가지 이유 1952년(조선 선조 25년 임진년)에 일본 전국시대를 통일한 일본 다이묘 하시바 히데요시가 명나라를 정벌한다는 명분으로 조선을 침략한 전쟁으로 조선, 명나라, 일본 사이에서 일어난 국제전쟁 날짜 : 1592년 5월 23일 ~ 1598년 12월 16일 전쟁명칭 : 임진왜란, 정유재란 전쟁장소 : 한반도 일부 교전국 : 조선, 명 VS 일본(왜) 임진왜란에서 조선군이 승리한 이유 조선 백성들의 협조로 인한 정보, 첩보전 임진왜란 당시에 조선 수군을 지휘하고 있었던 이순신 장군은 일본군에 대한 첩보전을 상당히 중요시 했는데 일본 수군의 이동경로라던지 등의 정보를 백성들에게 주로 들었으며 이러한 정보는 남해안을 장악하여 일본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육지에서는 .. 밀리터리 2016. 10. 25.
반응형